UAE와 AI 생태계·바이오헬스·SMR·제3국 진출까지 포괄 협력 추진
이재명 대통령 “흔들리지 않는 100년 동맹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 관계를 ‘전방위 동맹’으로 격상시키겠다는 구상을 공식화한 가운데, 양국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인공지능(AI)·우주·바이오헬스·원자력 신기술 등을 망라한 7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 카스르 알 와탄에서 회담을 마친 뒤 한-UAE MOU 교환식을 열고, 양국 협력 관계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7건의 MOU에 서명했다.
이번에 체결된 문서는 ▲한-UAE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 ▲AI 분야 협력 MOU ▲우주협력 양해각서 ▲한-UAE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경제협력위원회 행정·운영 양해각서 ▲바이오헬스 분야 포괄 협력 MOU ▲지식재산 심화 협력 양해각서 개정 약정 ▲원자력 신기술·AI·글로벌 시장 협력 파트너십 MOU 등이다.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와 AI 분야 협력 MOU는 데이터·연산 인프라·AI 반도체·서비스 개발 등 AI 생태계를 함께 설계하기 위한 상위 틀과 실행 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우주협력 양해각서는 위성 공동 개발·활용과 발사장·지상국 인프라, 나아가 달·화성 탐사까지 염두에 둔 협력의 제도적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헬스 MOU와 지식재산 심화 협력 약정 개정에는 의약품·의료기기 규제, 첨단 바이오 기술, K-콘텐츠·디지털 자산 보호 등에서 규범·제도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원자력 신기술·AI·글로벌 시장 협력 MOU는 바라카 원전 이후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과 AI 기반 운영 기술, 제3국 공동 진출까지 포괄하는 ‘원전 동맹’의 외연 확장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UAE 간 협력 관계가 더 넓게, 더 깊게, 더 특별해지길 바란다”며 “어떤 외교 환경 변화가 있더라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100년 동맹을 향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UAE는 중동·아프리카 국가 가운데 한국과 유일하게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라며 “바라카 원전과 아크부대가 양국 협력을 상징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방·방산·인공지능·원자력·보건의료 등 전략 분야에서 협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아부다비=라다솜 기자 radasom@incheonilbo.com
- 이재명 대통령, 에너지 넘어 AI·우주·방산까지…한-UAE ‘전방위 동맹’ 선언
- 이재명 대통령 “신뢰와 공동 의지로 맺은 한-UAE 파트너십···백년 동행의 토대”
- UAE, 형제국 넘어 경제공동체로···이재명 대통령 “중동·아프리카 향한 한국의 베이스캠프 될 것”
-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중동 순방…UAE서 ‘전략경제 외교’ 시동
- 이재명 대통령 ‘세일즈 외교’ 출발…UAE→이집트→남아공→튀르키예
- “UAE는 형제국 그 이상…제3세계 함께 진출”
- 한-UAE 정상, 350억 달러+α 세일즈 외교 합의…AI·방산·에너지 ‘완성형 가치사슬’ 구축
- 한·UAE, 공동선언으로 100년 동행⋯“불가역·항구적 동반자” 천명
- 첫 중동 순방지 UAE서 띄운 ‘경제·안보 동맹’···AI·방산·원전 잇는 ‘150조+α 경제동맹’
- 재계 총출동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백년 동행’ 패키지 협력 논의
-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行…G20서 ‘연대·평등·지속가능성’ 다자무역 복원 승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