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군공항 이전·국제공항 건설
인천, 항공 수요 2035년부터 용량 755만명 초과 예측
김포, 비행제한 등 각종 규제로 한계
3곳 후보지 모두 경제성 확보…복수공항체제 논의 필요
경기·인천·서울 수도권 항공 수요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를 가리지 않고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공항 인프라는 여전히 인천공항·김포공항 두 축에 의존하고 있다. 경제성장의 밑거름인 ‘물류 처리’는 인천공항으로 사실상 모두 몰려있는 구조다. 경기도에 ‘수도권 제3공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고 제기되는 이유다.
특히 6·3 대통령 선거와 우리나라 공항정책 재개편이 검토되는 시기가 맞물리는 등 정치권에서 주요 아젠다로 다룰 근거가 충분한 것으로 분석된다.
7일 인천일보 취재에 따르면 인천공항은 지난해 12월 4단계 확장사업을 마치면서 연간 여객수용 능력이 1억600만명에 달하는 세계 3대 메가공항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정부의 통계 등을 참고하면 향후 8~10년 인천공항이 수요 대비 용량이 많아 ‘포화 상태’를 겪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가 수립한 ‘제6차 공항종합개발계획’은 인천공항 연간 여객 수요가 2035년 1억1356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때부터 기준보다 755만명 넘게 초과된다.
나아가 2040년 2128만7000명, 2045년 3382만5000명, 2050년 4429만2000명 등으로 초과 규모가 점차 급증한다. 물론 5단계 확장이 예정돼있으나, 완료 이후에도 1억3000명 정도를 수용 가능해 2040년 분석 수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인천공항은 인근 도시개발로 인해 신규 활주로 등 공사를 무한정할 수 없다.

이런 문제가 예고되자,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와 정치권에 조속한 추가 확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인천경실련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인천국제공항공사 자체 용역 결과 2033년 연간 여객 수가 1억1100만 명으로 예측됐다. 4단계의 여객 수용 능력을 넘어선 수치”라며 “대선 후보와 정치권은 5단계 확장 사업 추진을 공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서구에 김포공항이 운영되고 있지만, 야간운항 제한(오후 11시~오후 6시까지 비행 금지)과 2000㎞ 이내로 제한된 국제선 거리 등 한계를 안고 있는 상태다. 김포공항 부지와 고도 제한 영향반경은 경기도를 비롯해 인천, 서울 3개 지역에 걸쳐 있다. 이미 주민들의 소음피해로 보상이 이뤄지고 있는 데다, 개발이 팽창해 공항을 확장할 수 없는 처지다.
현재 대선에 출마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022년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섰던 당시, ‘김포공항·인천공항 통합 이전’을 꺼내든 배경이기도 하다. 김포공항을 옮긴 뒤 수도권 대개발을 추진하겠다는 그의 구상에 경기·인천·서울 시민들이 추진단까지 결성해 강력하게 지지했다.
2019년부터 경제단체와 학계 등이 경기지역에 신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 것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일단 인구와 면적, 타 권역별 공항 분포도를 봤을 때 균형이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1300만명 인구 경기도에는 공항이 단 1곳도 없다. 1260만명의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상)만 5개를 보유 중이다. 502만명 호남권(광주·전라)은 4곳이 있다.
최정철 인하대학교 교수는 “경기·인천·서울 광역 경제권은 2035년에 항공여객 2억명 이상을 처리하는 아시아의 중심 지역이 되기 위해서 복수 공항 체제를 굳건히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수도권 물류 수출 활성화 측면에서도 경기도 신공항이 거론돼왔다. 국토부 통계를 보면 2024년 한해 인천공항에서 397만4771t의 국제화물이 운송됐다. 김포공항은 5만8794t이다. 이처럼 매년 국내 항공화물의 99% 비율이 인천공항에 집중될 정도다.

경기도가 지난해 발표한 국제공항 관련 연구용역에선 2023년 기준 항공화물 물동량이 서울 약 36만5700t, 경기 약 29만9600t, 인천 약 8만9600t 등으로 나타났다. 3개 지방자치단체가 우리나라 물류 경제를 이끌고 있는 셈이다.
또 도의 용역에서 적합 후보지로 도출된 3곳은 모두 경제성(B/C 지수 1.0 이상)을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지역에서 교통시간으로 1~2시간 내 도달하는 높은 접근성이 있다. 즉 항공 수요 대체, 첨단물류 기능의 2가지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공항 현안은 올해 말 국토부 조사가 완료되는 ‘제7차 공항종합개발계획’에 반영되는 것이 선결 과제다. 해당 계획을 근거로 차기 정부에서 신공항 건설 정책 등을 본격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도는 당위성을 충분히 확보한 뒤 국토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다.
▶ 관련기사 : [6·3 대선 이번만은 꼭!] 경기도 밀린 숙제, 국가적 의제로 만들어야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② 경기도 밀린 '공항 숙제', 국가적 의제로 만들어야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② 새 정부 출범과 맞물린 정책 개편…경기 공항 향방 주목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③ 선거 중심에 다시 선 GTX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③ “GTX, 원도심 포용 균형 잡힌 '철도 전략' 뒷받침돼야”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③ 이재명·김문수 'GTX 확대' 공언…이번엔 약속 지켜야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④ 유예·부활 거듭…'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손질, 차기 정부에 달렸다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④ 1기 신도시 정비사업 활성화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⑤ 인천공항경제권 개발
- [6·3 대선 이번만은 꼭!] ⑤ 인천 아이퍼스 힐 '한국형 할리우드' 도약 기대
- 정부, 수도권·중부권 아우른 ‘공항 시스템’ 분석…결론만 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