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인도지원·중동평화 연대…한반도-중동 ‘평화축’ 구상
CEPA 공동선언·교육·문화·방산 MOU로 협력 강화

이재명 대통령이 한·이집트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평화·번영·문화 융성의 ‘공동협력 파트너십’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한반도와 중동을 아우르는 ‘평화 촉진자’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과 사회보장협정 타결, 교육·문화·방산 협력 확대를 축으로 양국 협력을 전방위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압델 파타흐 알시시 이집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공동언론발표에서 “지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지난 30년간 쌓아 온 마음의 거리는 그 어떤 파트너 못지않게 가깝다”며 “양국이 평화와 번영, 문화 융성을 위한 공동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날 한·이집트 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는 ▲국제평화 기여 ▲경제‧사회 분야 협력 확대 기반 마련 ▲교육 분야 상생 파트너십 구축 ▲문화 협력의 지평 확대 ▲방산 분야 호혜적 협력 강화 등으로 압축된다.
이 대통령은 먼저 한반도와 중동 정세를 언급하며 한·이집트를 “평화 촉진자”로 규정했다.
이 대통령은 “알시시 대통령께서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을 열겠다는 우리 정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전적인 지지를 표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집트가 가자지구 휴전과 재건, 중동 평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높이 평가한다”며 “우리 정부도 가자 난민이 겪는 인도적 위기 해결을 위해 이집트와 계속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한반도와 중동지역 평화를 위한 서로의 역할을 지지하며 국제평화를 위해 계속 연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경제·사회 분야에선 제도적 협력 기반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이집트를 ‘북아프리카 최대 제조업 기반국이자 아프리카·중동·유럽을 잇는 핵심 허브’, 한국을 ‘성공적인 발전 경험과 다수의 글로벌 기업을 가진 국가’로 규정하며 “양국 경제협력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양국은 이날 ‘한·이집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세파(CEPA)는 광범위한 경제협력을 뒷받침할 중요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며 “양국 간 CEPA 협상이 조속히 개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제자유구역을 매개로 한 교류·협력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양국 국민의 실질적 삶에 직결되는 사회보장 분야에서도 진전이 있었다.
이 대통령은 “‘한·이집트 사회보장협정’이 타결된 것을 환영하며,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늘릴 수 있도록 조속히 협정을 정식 체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축 가운데 하나는 교육 협력이다.
이 대통령은 “사회 발전과 성장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에 깊이 공감했다”며 “알시시 대통령이 한국이 교육을 통해 번영을 이룬 점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양국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과학 교육, 한국어 교육, 직업기술 교육, 교육의 디지털 전환 등을 포괄하는 ‘교육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 분야에서 축적해 온 전문성과 경험을 함께 나누며 양국의 교육 현장이 함께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화 협력은 ‘문화 강국 간 동반자’라는 구도로 제시됐다.
이 대통령은 “이집트는 중동지역 문화 콘텐츠의 선도국이자 K-드라마, K-POP, 한식, 한국어 등 K-콘텐츠의 인기가 매우 높은 나라”라며 “양국 관계 발전에 있어 양 국민 간 문화 교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고 했다.
양국은 이날 시청각·공연예술, 출판, 박물관, 도서관 등 폭넓은 분야를 포괄하는 ‘문화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 교류가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며 “더 많은 이집트 국민들이 K-콘텐츠를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통적 중점 협력 분야인 방산에서도 협력 확대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K-방산이 전 세계로부터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며 “K9 자주포 공동생산으로 대표되는 양국 방산 협력이 앞으로 FA-50 고등훈련기, 천검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 “알시시 대통령이 한국의 높은 방산 기술력에 신뢰를 갖고 있으며, 공동생산 등 호혜적 협력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카이로=라다솜 기자 radasom@incheonilbo.com
- “세파로 아프리카 관문 넓힌다”… 한-이집트, 경제·가자 재건·동포외교 3각 공략
-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行…G20서 ‘연대·평등·지속가능성’ 다자무역 복원 승부수
- 카이로대 찾은 이재명 대통령 “SHINE으로 한-중동 미래 잇겠다”
- 한-이집트 111분 정상회담···‘공동협력 파트너십’ 띄웠다
- UAE 이어 이집트로···이재명 대통령, 카이로서 ‘중동 외교 2막’
-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도착…G20서 ‘연대·평등·지속가능성’ 청사진 제시
- 이재명 대통령, G20서 ‘포용성장 3대 해법’ 제시···“격차 줄이고 기회 넓히자”
- 이재명 대통령 주재 ‘MIKTA’ 정상회동···다자주의·국제협력 의지 재확인
- “프랑스엔 전략적 동반자, 독일엔 통일 해법”…G20 외교전에 나선 이재명 대통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