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제물포구에 31억 승계 방침
동구는 채무 없어…“불공정” 난색
행정체제 개편 앞두고 '소통' 과제

▲ 2026년 7월 행정체제 개편으로 ‘제물포구’로 편입 예정인 인천 동구 송림동 전경. /인천일보 DB
▲ 2026년 7월 행정체제 개편으로 ‘제물포구’로 편입 예정인 인천 동구 송림동 전경. /인천일보 DB

2026년 7월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으로 제물포구의 출범이 1년도 채 안 남았지만, 동구와 중구가 지방채 승계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성공적인 출범을 위한 기초단체 간 소통과 통합이 시급하단 지적이 제기된다.

13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 중구가 새롭게 출범할 제물포구와 영종구에 승계해야 할 지방채는 총 90억원이다.

이중 제물포구에 승계될 지방채는 ▲인천종합어시장 공영주차장 건립 16억원 ▲개항동 행정복지센터 건립 15억원 등 총 31억원이다.

중구는 두 사업이 미래 제물포구 지역 주민들의 혜택을 위해서 지어진 것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법 8조에 따라 지방채 승계가 필요하다는 방침이다.

중구 관계자는 “지방채를 발행한 사유 자체가 시설이 지어질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했던 것”이라며 “두 시설은 제물포구가 출범할 곳에 있으므로 제물포구가 지방채를 승계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반면 동구는 제물포구로 승계될 지방채가 없는 상황에서 중구의 채무 원금과 이자를 떠안는 것이 불공정하다는 기색을 내비쳤다.

장수진(민·나) 동구의원은 “31억원의 채무 부담을 더하면 제물포구는 출범과 동시에 재정적 고충을 겪을 수 있다”며 “승계 방침을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제물포구는 인천의 대표적인 원도심인 동구와 중구 내륙으로 구성된다. 양 구의 여건이 넉넉하지 않은 만큼, 성공적인 행정체제 개편을 위해선 충분한 대화를 통한 화합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행정체제 개편이라는 것은 양쪽의 충분한 숙의를 거친 후에 진행됐어야 하는데, 안정적인 논의 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비본질적인 논쟁거리가 발생한 것”이라며 “긴밀한 협의를 통해 기초단체들이 통합의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동구 관계자는 “지방채가 투입된 실물이 제물포구로 넘어오다 보니 이를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여러 의견이 있다”며 “중구, 인천시와 함께 협의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홍준기 기자 hong@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