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직원 대상 희망 근무지 조사
중구, 조직 개편안 등 설명회 개최

행안부, 기준인건비 산정 검토 중
내달 이후 정원 규모 구체화될 듯

▲ 지난 2월18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천형 행정 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출범 준비 상황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재민 기자 leejm@incheonilbo.com
▲ 지난 2월18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천형 행정 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출범 준비 상황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재민 기자 leejm@incheonilbo.com

내년 7월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을 앞둔 자치구들이 직원들에게 희망 근무 지역을 묻고, 신설구 전담 조직을 확대하는 등 조직 전환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19일 서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달 22~29일 8일간 4급 이하 직원 1603명을 대상으로 '희망 근무 배치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 결과 서구(서해구)와 검단구 희망 비율은 7대 3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구는 오는 12월말 2차 조사를 벌여 향후 실제 인사 배치에 반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내년 초 조직 개편도 예고했다. 개편의 골자는 검단구 관련 사무를 맡을 전담 조직과 인원을 마련, 확대하는 것이다.

분구추진단을 포함한 현재의 8개국 체제에서 10개국으로 개편, 이때 3개국이 검단구 관련 사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후 내년 7월 검단구가 출범하면 검단구 사무를 관장하던 조직이 자연스럽게 검단구로 흡수될 전망이다.

중구도 개편 준비에 한창이다.

중구는 개편 구 조직안을 마련하고, 12~14일 총 4회에 걸쳐 1(내륙)·2(영종)청 직원 대상 설명회를 진행했다.

또 지난 2월 5급 이하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 근무지에 대한 무기명 조사를 한 데 이어, 이달 중에는 실명 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앞선 조사에서는 영종구와 제물포구 응답 비율이 7대 3 수준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20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개편 앞에 공무원들도 근무지를 고심하고 있다.

중구 공무원 A씨는 “영종구와 제물포구 모두 장단점이 있다”며 “영종구는 기존 중구 직원들로 다수가 꾸려질 테니 아무래도 아는 사람이 많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고, 제물포구는 아는 사람은 적어도 지리적으로는 이점이 있을 거다. 이중 하나를 택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서구 공무원 C씨는 “불확실한 상태에서 선택해야 하니 다들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며 “승진이 임박해 있는 직원들은 서구(서해구)와 검단구 중 어느 쪽에서 근무하는 게 더 유리할지를 고민하는 것 같다. 향후 서해구와 검단구의 상황, 거주지 등을 생각하는 것 같고, 또 직렬별로도 분위기가 다른 듯 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구별 배치 인력의 규모는 아직 베일을 벗기 전이다.

인천시는 지난 9월 신설 자치구의 조직 및 공무원 정원 규모 설계를 위한 '행정체제 개편 자치구 조직진단 및 설계 연구용역'에 착수했고, 8월 준공한 뒤 결과를 행정안전부에 전달한 상태다.

지자체는 기준인건비 범위 안에서 정원을 관리하는 만큼, 다음 달 행정안전부가 기준인건비 산정을 마치면 신설구의 정원 규모도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때 공무원 정원 증원 여부도 관건이다.

특히 공무원 1인당 담당하는 주민 수가 전국 기초단체 중 최고 수준에 달하는 서구에서는 정원 확대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인천일보 2월19일자 온라인판 “공무원당 주민수 전국 '최다' 서구에 … 유정복 시장 “분구시 해소 기대””>

시 관계자는 “용역 내용에 증원 부분까지 담아서 행안부에 전달했다”며 “서구가 (인력 문제로) 어려운 상황인 만큼, 충분히 반영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전민영·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