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수학 영역, 선택과목 유불리 가능성 최소화
수학과 탐구, 제2외국어/한문, 사고력 중심 평가 지향
한국사, 우리 역사 평가하는 수준 ‘평이’
EBS 연계율 50%…'사탐런' 문제 없을 것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춘 적정 난이도로 출제됐다.
13일 김창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은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2026학년도 수능은 고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며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수능에도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이 배제됐다. 김 위원장은 “사교육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공통과목+선택과목’구조로 치러지는 국어·수학 영역에서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출제됐다.
김 위원장은 국어와 영여에서는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으며 수학과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개별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 평가를 지향했다고 언급했다.
수험생들이 반드시 응시해야 하는 한국사는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의 연계율은 문항 수를 기준으로 50% 수준이다. 특히 영어의 연계 문항은 모두 EBS 교재의 지문과 주제·소재·요지가 유사한 다른 지문 등을 활용하는 간접 연계 방식으로 출제됐다.
올해 수능의 최대 변수로 일컬어지는 ‘사탐런’과 관련해, 김 위원장은 “우리는(출제위원회)는 애초에 세운 목표 난이도에 따라 작년 수능 기조와 올해 6월·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 문제를 출제한다면 그러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고륜형 기자 krh0830@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