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거 인력 대부분 70대 이상 고령
무거운 폐어구 사실상 처리 불가
군 지원 중장비는 트랙터 1대뿐
지도 이장 “야적장도 없어 방치”
정식 부두 없어 출항 '제한적'
두 달간 실적, 목표의 절반 수준
옹진군 - IPA, 시설 확보 협의 중
![[바다는 쓰레기를 기억한다] 3. 계류시설 없는 '옹진청정호'…반쪽짜리 기능 전락](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08/1298985_623906_4951.jpg)

인천 옹진군 섬 지역 해양쓰레기 처리가 난항을 겪고 있다. 해안가로 밀려온 쓰레기는 어르신들이 손으로 주워 모으지만 운반선은 1년에 한두 밖에 오지 않고, 절벽이나 무인도 등 접근이 어려운 곳에 쌓인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만든 선박 '옹진청정호'는 정식 계류시설이 없어 제대로 운항하지 못하고 있다.

▲“매주 주워도 1년에 한두 번 반출”…섬에 쌓이는 해양쓰레기
섬 해안가로 떠밀려온 해양쓰레기는 매주 공공근로자들이 수거한다.
백령도, 대청도, 덕적도 등 옹진군 7개 섬에서 총 494명의 공공근로자가 주 3회, 1일 3시간씩 해변을 돌며 쓰레기를 주워 마대에 담는다. 섬마다 2~4명씩 배치돼 있으며 지난해 이들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1484t에 달한다.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공공일자리 사업은 환경부와 인천시가 총 43억6500만원을 들여 추진 중인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 일환으로 이 중 35억4700만원은 인건비로 쓰인다.
문제는 수거 인력 대부분이 70대 이상 고령자라는 점이다.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같은 가벼운 쓰레기는 주울 수 있지만, 폐어구나 밧줄처럼 모래에 파묻히거나 엉킨 무거운 쓰레기는 성인 남성도 쉽게 꺼낼 수 없어 사실상 수거가 불가능하다.

장비도 열악한 상황이다. 옹진군이 지원한 중장비는 굴업도에 있는 트랙터 1대뿐이다. 일부 섬은 중장비를 보유한 업체와 단기 계약을 맺어 작업하기도 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운용이 제한적이다.
수거한 쓰레기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는 점도 문제다. 해양쓰레기는 보통 25t 트럭 4~5대 분량이 모여야 차도선이 섬에 들어와 육지로 운반한 뒤 소각장에서 처리된다. 하지만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처럼 부피는 크지만 무게는 가벼운 쓰레기는 중량 기준을 채우기 어려워 일부 섬은 2~3년에 한 번꼴로 쓰레기 반출이 이뤄지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해 운반선이 운행한 횟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자월도, 승봉도, 덕적도, 울도, 신도에는 각각 한 차례, 대이작도·소이작도와 소청도에는 두 차례씩 운반선이 들어왔다.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환경공단이 위탁받아 처리한 백령도와 대청도 외의 섬들에는 운반선이 투입되지 않았다.
이현각(70) 백아도 어촌계장은 “70~80대 어르신들이 모래사장에 묻힌 닻자망을 끌어내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덕적도는 그나마 1년에 몇 번 운반선이 오지만 백아도는 1년에 한 번도 안 오는 해도 있다”고 말했다.
박은숙(63·여) 지도 이장은 “야적장도 없어 쓰레기를 포대에 담아 집 앞에 두는데 3개월쯤 지나면 포대가 삭아 터진다”며 “관광객들은 깨끗한 섬을 기대하고 오는데 해변에 쓰레기가 그대로 있으니 누가 다시 오고 싶겠냐”고 토로했다.

▲옹진청정호 출항했는데…계류시설은 '아직'
이런 상황에서 옹진군은 총 78t을 실을 수 있는 해양쓰레기 전용 수거선 '옹진청정호'를 도입했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절벽이나 무인도 등 취약 해안과 옹진군 해양쓰레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연평도 일대 쓰레기를 처리하겠다는 목적이었다.
지난 4월 29일 운항을 시작한 이 배는 지난달 2일까지 두 달간 기대에 못 미치는 수거 실적을 기록했다. 섬별 구체적인 운항 실적은 연평도 6회, 자월도 2회, 덕적도(덕적본도 1회·소야도 1회) 2회 등 10회에 그쳤다. 당초 계획했던 월 10회 운항에 비해 절반 수준이다.
옹진청정호가 계획대로 운항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정식 계류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옹진청정호는 현재 인천 갑문에 임시 계류 중인데, 이곳은 선박 입출항을 조절하는 수문 역할만 할 뿐 정식 부두는 아니다. 대형 선박과 함께 출입항해야 하고, 물때나 기상 조건이 맞지 않으면 운항이 어렵다.
또 옹진청정호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실을 수 없어 취약 해변에서는 선박을 정박한 뒤 작업자가 직접 내려가 마대에 담는 방식으로 수거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력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쓰레기는 그대로 방치된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인천 내항은 재개발로 기존 선석마저 줄어들고 있고, 관공선 부두도 기존 선박을 폐선해야 신규 선박이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포화 상태”라며 “옹진군은 선박을 만들기 전에 계류시설부터 확보했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옹진군 관계자는 “옹진청정호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취약 해안에서 쓰레기를 실어나르고 하다 보니 주민 입장에서는 체감이 크지 않을 수 있다”며 “장기적인 계류시설 확보를 위해 인천항만공사와 지속해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나라 기자 nara@incheonilbo.com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