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구, 중산동 건물 등 임차
제물포, 현재 중·동구청에 둥지
검단, 당하동 '모듈러 청사' 용역 중

▲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2월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출범 준비 상황에 대한 언론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2월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출범 준비 상황에 대한 언론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출범을 앞둔 3개 자치구의 새 보금자리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모두 장기적으로 신청사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하되, 영종구와 검단구는 임시청사로 독립의 첫발을 떼고 제물포구는 현재의 중·동구 청사를 활용한다.

4일 중구에 따르면 영종구는 현재 중구 제2청사와 함께 민간 건물을 임대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영종구청사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중구는 중산동의 10층짜리 민간 건물 8개 층을 임차했으며, 영종구의회는 이곳 1개 층을 쓰게 된다.

청사를 위해 투입되는 비용은 약 161억원이다. 여기에는 영종구 임시청사 임대료(5년간) 80억원과 보증금 25억원, 임시청사·제2청사 환경개선비 56억원 등이 포함됐다.

본 청사 조성 예산 확보는 또 다른 숙제다.

최근 중구는 '영종구 신청사 기본 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통해 신청사 후보지 8곳 중 운남동 공공청사부지(3만1978㎡)를 건립 부지로 정했다.

이 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유로, 부지 매입비만 약 471억원에 이른다. 청사 건립에 500억~1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신청사 조성에 최소 1000억원이 필요한 셈이다.

중구 내륙과 동구를 합친 '제물포구'는 현재 중구와 동구청사를 모두 사용하며, 신청사 부지를 찾고 있다.

중구 관계자는 “현재 (영종구) 신청사 규모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 내년 2월에 마무리되는 관련 용역 이후에 구체적인 건립비가 나올 것이다. 관련 법 제정에 따라 국비가 어느 정도 지원될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검단구는 출범과 함께 '모듈러(조립식) 임차' 방식으로 임시 청사를 사용한다.

서구는 이를 위해 '검단구 모듈러 임시청사 부대토목 및 기타시설공사 설계용역'과 '검단구 모듈러 임시청사 제작·설치 및 임차용역'을 진행 중이다.

임시청사는 당하동 일원에 연면적 약 2만2000㎡ 규모로 조성된다. 본관동과 별관·의회동, 보건소 등 5개 동이 들어서며 지상 1층 규모인 별관을 제외한 나머지는 지상 3층으로 설치된다.

모듈러 청사 설계와 제작, 임대(6년 기준) 등에 쓰이는 예산은 약 207억원이다.

임시청사는 2031년까지 최소 6년간 사용되며, 신청사 준비 상황에 따라 임차 계약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

검단구 신청사는 계획이 구체화하지 않은 상태로, 서구는 지난 7월부터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다.

개편 이후 서구는 현 서구청사를 사용한다.

다만 인구수 변화에 따라, 공유재산법 시행령상 인구별 청사 기준 면적을 고려한 사무 공간 축소가 이뤄져야 한다.

서구는 '서구청사 리모델링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분구에 따른 적정한 청사 규모와 유휴 공간 활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서구 관계자는 “현재 검단구 분구 이후 (신청사 준비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행정 절차를 선행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전민영·정혜리 기자 jmy@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