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청, 214명·1억3650만원 피해 확인…고양·서초·동작 등 확산

KT 휴대전화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1억3600만원을 넘어 계속 확산하고 있다. 경찰은 피해 지역과 피의자 동선을 대조하는 한편 ‘윗선’ 수사에도 집중하고 있다.
<2025년 9월19일자 6면 KT 해킹범 체포·펨토셀 장비 확보…362명 피 등>
23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6시 기준 KT 휴대전화 부정결제 피해는 총 214명, 피해액은 1억3650여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8일 기준 피해 200명, 피해액 1억2790여만원보다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광명시가 124명(818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금천구 64명(3860만원), 부천 7명(580만원), 과천 10명(445만원), 인천 부평 4명(258만원), 서울 동작구 4명(254만원), 서초구 1명(79만원) 순이다.
피해 기간은 지난달 5일부터 이달 5일까지 한 달간이다. 피해 지역은 기존에 알려진 광명과 서울 금천 외에도 서초구와 동작구, 고양시 일산동구까지 확산한 것으로 뒤늦게 파악됐다.
KT의 자체 집계 결과는 경찰에 접수된 피해 신고 건수를 한참 웃돌고 있어 앞으로 피해 규모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경찰은 KT로부터 자료를 받아 유사성 검토를 거친 뒤 최종 피해 규모를 산정할 방침이다.
이번 사건 피해는 특정 가입 기간이나 연령을 가리지 않고 무작위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가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피해자 362명 중 20년 이상 장기 가입자 10명, 최근 가입자까지 포함돼 있었으며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도 59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50대 각 90명, 20대 36명, 60대 이상 51명 등 전 세대가 피해를 입었다.
경찰에 붙잡힌 중국 동포 A(48)씨는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승합차에 싣고 아파트 밀집 지역을 돌며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해 모바일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소액결제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최근 경찰 조사에서 “윗선으로부터 ‘아파트가 많이 있는 곳으로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행 동기와 관련해선 “생활이 어려워 500만원을 받는 조건으로 범행에 가담했다”고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씨 진술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계좌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아울러 A씨에게 범행을 지시한 인물 외에 다른 윗선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돼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김혜진 기자 trust@incheonilbo.com
- ‘KT 소액결제’ 40대 피의자들 구속…펨토셀 어떻게 활용했나
- KT 소액결제 피의자 “시키는 대로 했다”…주범 따로 있나
- KT 소액결제 피해 199건…경찰 수사 확대
- KT 소액결제 이어 이번에는 ‘다른 기기 수신’ 미스터리
- KT 늑장대응…소액 결제 피해 '일파만파'
- KT 부정결제 피의자, 범행 장비 중국 반출…25일 송치
- 검찰, ‘KT 무단 소액결제’ 중국 국적 2명 구속기소
- 김현 의원 “KT는 해킹사태에 실질적 조치 즉시 시행해야”
-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정부조사 방해 의혹…경찰 내사
- 불법 장비 전달하고 수익 세탁…‘KT 소액결제’ 3명 추가 송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