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통신장비 부품 전달, 상품권으로 범죄 수익 세탁 등 혐의

‘KT 무단 소액결제’ 범행 도구인 불법 통신장비를 전달하거나 범죄 수익을 세탁한 일당 3명이 추가로 검찰에 넘겨졌다.
<2025년 9월8일자 온라인뉴스 KT 가입자 대상 첫 '지역·시간대 집중' 소액결제 피해…경찰 수사 등>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 9월 구속 송치된 중국동포 A(48)씨로부터 불법 통신장비 부품을 전달한 B씨와 C씨 등 2명을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등 혐의로, D씨는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각각 구속 송치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인인 50대 B씨는 과거 텔레그램 등으로 알게 된 상선 의뢰로 지난 6월 초 범행에 사용된 통신장비 부품을 조달해 중국동포인 30대 C씨에게 직접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B씨는 경찰 조사에서 범행 대가로 상선으로부터 500만원을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C씨는 지난 7월 A씨를 만나 부품을 직접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정에서 C씨는 B씨에게 전달받은 부품 외에 다른 경로로 입수한 부품들도 함께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B씨와 C씨는 서로 모르는 사이로 각각 상선을 통해 지시받고 부품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C씨는 별다른 대가를 받지 않고 범행에 가담했는데 A씨와는 과거 일면식이 있는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불법 통신장비는 A씨 등 2명을 검거한 지난 9월16일 평택항 인근에서 보따리상을 통해 중국으로 반출되기 직전에 압수한 물품이다. 장비는 27개 네트워크 장비 개별 부품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터진 뒤 해당 장비는 일명 ‘펨토셀’로 불렸으나 27개 개별 부품 중 펨토셀 역할을 하는 것은 부품 1개로 추정된다.
또 한국인인 40대 D씨는 SNS를 통해 상선과 접촉한 뒤 무단 소액결제로 취득한 모바일 상품권의 핀번호를 자신의 계정으로 전송받았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넘기는 등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현재까지 이 사건으로 총 11명을 검거, 구속한 이들은 총 5명이다. 범행에 사용한 유심 개통을 돕는 등 혐의로 6명에 대해선 불구속 입건 상태로 조사 중이다.
앞서 지난 9월14일 구속 송치된 A씨 등 2명은 지난달 14일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 5일까지 주로 새벽시간대 자신의 차량에 불법 소형 기지국을 싣고 광명과 과천, 부천, 서울 금천 등 수도권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돌아다니며 KT 이용자들의 해킹 피해를 일으켜 소액 결제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에 접수된 피해 규모는 220명, 1억4000여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광명 124명(8100만원), 일산 1명(90만원), 과천 10명(445만원), 부천 7명(578만원), 서울 금천 67명(4100만원), 동작 5명(330만원), 서초 2명(170만원), 인천 부평 4명(250만원) 등이다.
경찰 관계자는 “B씨 등이 어떤 경로로 부품을 입수해 전달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항을 조사하고 있다”며 “범행을 지시한 상선도 추적하고 있다”고 했다.
/김혜진 기자 trust@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