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청년 보듬는 인천시 정책 확대

맞춤형 지원책 마련 초점
법·제도적 기반 강화 방침

[의원연구단체 돋보기] (3)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
▲ 지난달 23일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의회
▲ 지난달 23일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의회

인천 농어촌 지역 청년들을 보듬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인천시의원들이 하나로 뭉쳤다.

7일 시의회에 따르면 신영희(국민의힘·옹진군) 의원을 중심으로 꾸려진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에는 유승분(국·연수구3), 이봉락(국·미추홀구3), 조현영(무·연수구4), 한민수(국·남동구5) 의원이 참여한다.

이 연구회는 농어촌 지역에 맞는 청년 정책을 마련해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옹진·강화군은 인천 내륙과 달리 농어업 외에는 대체 산업 기반이 취약해 청년층의 경제적 기회가 제한적이다.

특히 교통·의료·주거·문화시설과 같은 생활 인프라도 도심과 비교해 훨씬 낙후돼 청년들이 정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청년 정책은 도심과 농어촌에 똑같이 적용되다 보니 농어촌 특수성을 살린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게 신 의원의 주장이다.

신 의원은 “농어업이 주산업인 농어촌 지역은 도심과는 다른 경제적·사회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며 “이는 청년층 이탈로 이어지고 지역 인구 구조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한 노동력 부족은 농어업 생산 기반 약화와 지역 경제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연구회는 농어촌 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역량을 쏟고 있다.

우선 농어촌 청년 관련 통계 자료와 기존 정책 보고서를 분석해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 방향성을 설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농어촌 지역을 방문해 지역 특성과 현황을 확인하고, 다른 지역 성공 사례를 조사해 인천 적용 가능성 등을 검토한다.

올 하반기에는 정책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농어촌 청년들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신 의원은 “현재 청년 정책은 농어촌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정책적 한계는 농어촌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안 마련에 어려움을 준다. 연구회를 통해 맞춤형 정책 방안을 마련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