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성공적 모델' 구축 잰걸음
지역 토론·타 모범 사례 분석
부평 등 3곳서 시범 실시 중
내년 3월 법률 시행 앞두고
시 담당 부서 신설 요구 예정
![[의원연구단체 돋보기] (2) 인천형 지역통합돌봄 연구회](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04/1286707_607560_4659.jpg)

인천시의원들이 고령자와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인천형 통합돌봄 연구'에 착수했다.
23일 시의회에 따르면 '인천형 지역통합돌봄 연구회'는 장성숙(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 주도로 구성됐다.
지역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서 보건·의료·요양·복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는 정책이다.
인천 등 전국이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통합돌봄이 지역사회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시의회 내부에서도 인천형 지역통합돌봄 연구회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장 의원을 비롯해 ▲김명주(민주당·서구6) ▲나상길(무소속·부평구4) ▲이선옥(국민의힘·남동구2) ▲임지훈(무소속·부평구5) ▲조성환(민주당·계양구1) 의원 등 모두 6명이 연구회에 참여하는데, 이는 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중 최다 인원이다.
연구회는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 통합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민관 협력 돌봄 모델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지난달 5일에는 민간 단체, 인천시 관계자들과 함께 '인천형 지역 통합돌봄을 위한 다학제 협력 방안 토론회'를 개최하고 통합돌봄 실현 방안을 논의했다. 앞으로 다른 지자체를 방문해 모범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에 통합돌봄 담당 부서 신설을 요구할 예정이다. 현재 시에는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와 담당자가 없다.
장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건복지국 내 통합돌봄을 담당하는 사회서비스과가 폐지됐다.
장 의원은 “인천시는 부평구 등 3곳에서 지역 통합돌봄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의료와 복지를 연계한 통합돌봄은 아직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 현안은 단순 복지 정책이 아니라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중요한 정책인 만큼 성공적인 인천형 모델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