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1093명에서 1년 만에 343명으로 곤두박질
이사들 ‘예산 삭감 사전 인지’ 물음에 정 원장 “몰랐다”
가평문화원이 각종 비위로 얼룩지면서 가평군민이 등을 돌리고 있다.
정용칠 원장이 취임한 지난해 1월 이후 회원이 무더기로 떠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1981년 가평문화원 설립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여기에 가평군이 지원하던 올해 사업예산 보조금이 큰 폭으로 삭감되면서 일부 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해지는 등 정 원장의 경영 리더십도 흔들리고 있다.
우선 지난해 1월 정 원장 취임 당시 1093명이던 유료 회원이 1년 만에 343명으로 쪼그라지면서 750명(69%)이 문화원을 등졌다.
지난 22일 나온 자체 감사에서도 같은 지적을 했다.
감사결과를 보면 ‘문화원의 가장 큰 자산은 군민참여와 회원임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개인 사정에 의한 회원 이탈 등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겠으나, 회원이 크게 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A(52‧가평읍)씨는 “가평문화원의 여러 문제가 있고, 또 정상화가 쉽지 않다는 점을 모르는 군민은 없을 것이다”며 “첫째 가평문화원을 제 소유물로 인식하는 그릇된 생각을 버리지 않고서는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정 원장의 경영 리더십에 대한 지적이 지난 26일 열린 제1차 이사회에서 나왔다.
B 이사는 “가평군의 문화사업 보조금 삭감이 담당 부서에서 이뤄졌는지, 아니면 가평군의회에서 삭감한 것인지 알고 있느냐”고 묻자 정 원장은 명확하게 답변하지 않았다.
B 이사는 이어 “그러면 담당 부서에서 속된 말로 ‘칼질’했네. 원장은 사업보조금이 큰 폭으로 삭감된 것을 사전에 알고 있었느냐”고 묻자, 정 원장은 “알지 못했다”고 답했다.
C 이사는 “문화원에서 예산을 방어했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해 실망스럽다”며 “회원들로부터 ‘이사들 뭐하느냐’는 따가운 질타를 받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이사 몇 명이 군수를 면담해야 한다’는 등 격앙된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하지만 올해 처음으로 열린 이사회에는 13명이 참석하다 10명이, 지난해 12월27일 이사회에는 16명이 참석하다 14명으로 회의를 마치는 등 이사들의 참석률이 높지 않았다.
가평문화원의 문화사업비는 지난해 1억3300여만원에서 올해 8400여만원으로 약 4800여만원 깎였다.
가평문화백일장, 석봉한호휘호대회는 예산이 전액 깎였고, 도비 지원을 받던 경기도민속예술제도 전액 삭감됐다.
이에 따라 한국화, 서양화, 한국무용 등 12개 문화교실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문화원은 문화교실 모두 오는 4~6월 3개월 운영만 가능하며, 하반기 운영은 불투명하다고 이사회에 보고했다.
여기에 일부 인건비 삭감되는 등 지난해 지원받았던 보조금 전체 약 4억8600만원 중 올해에는 약 4억800만원으로 전체적으로 약 7900만원이 삭감됐다.
한편 이번 자체 감사에서는 관용차 관리와 관련, ‘관내‧외 출장신청서, 출장복명서 등 출장 근거가 없고 차량운행 일지 작성 누락과 누적 운행 거리를 알 수 없는 등 관용차량 운행 관리도 시정조치하라’고 지적했다.
/가평=정재석기자 fugoo@incheonilbo.com
[반론보도] 「가평문화원, 말 많던 사무국장 또다시 채용 ‘시끌’」 기사 등 관련
본지는 지난 1월 23일 “가평문화원, 말 많던 사무국장 또다시 채용 ‘시끌’” 제하의 기사부터 4월 30일 “가평문화원장, 배임 및 횡령 혐의…피의자 신분 경찰 조사” 제하의 기사까지 32회에 걸쳐 가평문화원장이 배임 횡령 등 비위의혹이 있다는 등의 내용을 보도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정용칠 가평문화원장은 “가평문화원 사무국장 채용은 면접위원 위촉 결정방법의 공정성 훼손이라는 취소 사유를 들어 가평군 문화체육과장 단독 전결사항으로 인건비를 회수하고 현재까지도 11개월째 급여를 지급하고 있지 않고 있어 가평군을 상대로 행정소송에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또한 정 원장은 “가평문화원 시설 무료 대관 관련 규정이 없어 관행대로 회원들을 상대로 대여하는 등 배임·횡령한 사실이 없고, 직원에게 퇴직을 종용하거나 사회복무요원에게 막말을 한 사실이 없으며, 사퇴의사를 밝힌 바 없다. 문화원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업무용차량을 이용했으나 처음부터 사적이용으로 운행한 사실이 없다.”라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