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칠 원장 “인터뷰 응할 수 없다” 답변 거부
반론권 행사 묻는 문자 메시지에도 ‘묵묵부답’

정용칠 가평문화원장이 근무 시간에 직원을 대동, 관용차로 ‘반려견 사료 구입’, ‘부부의료 쇼핑’ 등을 한 것으로 확인돼 물의를 빚고 있다.
24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 원장은 지난해 1월 제10대 가평문화원장에 취임한 당일부터 직원에게 운전을 지시, 관용차를 10여 차례 사적으로 이용했다.
▲출‧퇴근 ▲반려견 사료 구입 ▲부부 병원 방문 ▲관외 시중은행 대출업무 ▲명절 지인 선물 전달 등 이용목적도 다양했다.
모두 근무 시간에 이뤄졌으며 운전은 모두 직원 A씨에게 지시했다. 이 직원은 문화원 시설 전반을 관리하는 게 주된 업무다.
정 원장은 취임식이 있던 지난해 1월19일 총회 후 지인과 2차를 위한 술자리 이동을 위해 관용차를 이용했다.
3월28일에는 직원에게 운전을 지시, 관용차인 카니발을 이용해 가평군 축협을 방문했다.
정 원장은 이곳에서 집에서 기르는 반려견 사료를 구입하고는 곧바로 자택이 있는 가평읍 상색리로 이동해 사료를 옮겼다. 이어 직원과 함께 설악면 창의리로 향했고 이곳에서 지인을 만났다.
하루 전날인 지난해 3월27일에는 정 원장 부부가 직원에게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B치과로 관용차 운전을 지시했다. 진료를 마친 정 원장 부부는 동대문구 회기동에 있는 친인척 집을 방문하고 가평으로 돌아와 곧바로 퇴근했다.
정 원장은 또 5월24일 개인대출을 위한 목적으로 직원에게 관용차 운전을 지시, 강원도 춘천으로 향했다. 정 원장은 KB국민은행 춘천지점에서 대출업무를 본 후 가평으로 돌아왔다. 정 원장은 6월13일에도 개인 목적으로 춘천시청 근처를 다녀오기도 했다.
또 7월25일 직원을 자택으로 불러 출근과 퇴근을 관용차로 했다.
정 원장은 ▲5월16일 청평면 장례식장 ▲9월1일 전철을 타기 위해 청평역 ▲9월19일 서울 종로구 병원 ▲9월26일 남양주 대성리와 가평군 현리에 사는 지인에게 명절선물 전달을 위해 관용차를 사적으로 이용하는 등 확인된 것만 모두 14건이다.
가평문화원 관용차는 업무 외에는 이용할 수 없다. 가평군 보조금사업으로 배치됐으며, 차량 운행 일지와 실주행 거리를 누락 없이 기록해야 하는 것이 교부 조건이다.
정 원장은 직원에게 운행 일지를 쓰지 말라고도 했다.
관용차 운행일지를 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3387㎞, 실제 운행한 차량 계기판 주행거리는 4143㎞로 756㎞나 차이 난다.
직원 A씨는 “원장 지시로 서울로 춘천으로 관용차를 운전했다. 그때마다 운행일지 등 기록을 남기지 말라고 지시했다”며 “잘못된 것은 알았지만,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인천일보 인터뷰에 응할 수 없다. 답변을 거부한다”며 전화를 끊은 뒤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어진 문자 메시지에도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 가평문화원, 말 많던 사무국장 또다시 채용 ‘시끌’
/가평=정재석기자 fugoo@incheonilbo.com
[반론보도] 「가평문화원, 말 많던 사무국장 또다시 채용 ‘시끌’」 기사 등 관련
본지는 지난 1월 23일 “가평문화원, 말 많던 사무국장 또다시 채용 ‘시끌’” 제하의 기사부터 4월 30일 “가평문화원장, 배임 및 횡령 혐의…피의자 신분 경찰 조사” 제하의 기사까지 32회에 걸쳐 가평문화원장이 배임 횡령 등 비위의혹이 있다는 등의 내용을 보도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정용칠 가평문화원장은 “가평문화원 사무국장 채용은 면접위원 위촉 결정방법의 공정성 훼손이라는 취소 사유를 들어 가평군 문화체육과장 단독 전결사항으로 인건비를 회수하고 현재까지도 11개월째 급여를 지급하고 있지 않고 있어 가평군을 상대로 행정소송에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또한 정 원장은 “가평문화원 시설 무료 대관 관련 규정이 없어 관행대로 회원들을 상대로 대여하는 등 배임·횡령한 사실이 없고, 직원에게 퇴직을 종용하거나 사회복무요원에게 막말을 한 사실이 없으며, 사퇴의사를 밝힌 바 없다. 문화원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업무용차량을 이용했으나 처음부터 사적이용으로 운행한 사실이 없다.”라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