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문 연 이후 10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 가평군의회가 지난 12일 국민연금공단 본사를 방문, 가평상담센터 폐지 철회를 요청했다. /사진제공=가평군의회
▲ 가평군의회가 지난 12일 국민연금공단 본사를 방문, 가평상담센터 폐지 철회를 요청했다. /사진제공=가평군의회

올해 말 폐쇄를 앞둔 국민연금 가평상담센터가 예정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가평읍 시내에 있는 국민연금 가평상담센터는 2016년 3월 문을 연 이후 10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이런 소식이 전해지자 가평군은 물론 가평군의회 등 정치권까지 나서 존치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내고 있지만, 급변하는 서비스 환경을 거스를 수는 없는 모양새다.

국민연금 춘천지사에 속한 가평상담센터는 직원 2명이 방문 주민에게 연금 관련 업무 서비스를 해왔다.

정부는 2023년 ‘공공기관 효율화 방침’에 따라 전국 상담센터 중 1일 상담 건수가 10건 미만인 곳을 중심으로 운영 중단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7월 인천 중구를 비롯해 올해 1월 충남 서천, 지난 7월 강원 횡성 등 모두 8곳 중 7곳의 상담센터가 문을 닫았다. 이어 올해 12월 말 가평상담센터가 문 닫을 예정이다.

정부의 이런 방침에는 서비스를 확대하고 인력을 재배치한다는 기본 계획이 깔려 있었다.

정부는 2022년 인구 유입으로 서비스 수요가 확대된 경기도 남양주지사와 충북 청주지사를 신설했고, 경기도 용인 수지상담센터를 지사로 격상하는 등 전국적으로 인력과 예산을 재배치 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2일 가평군의회가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본사를 항의 방문했다.

가평군의회 김경수 의장을 비롯한 군의원들은 국민연금공단 기획조정실장과 전략기획부장 등과 마주 앉았다.

이 자리에서 김경수 의장은 가평이 초고령 지역임을 강조하며 의원들과 한뜻으로 “국민연금공단 측에서 일방적으로 행정 효율화를 위해 가평상담센터를 폐쇄하겠다는 것은 가평 군민의 복지 접근권의 심각한 후퇴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지적하며 폐쇄 철회를 요구했다.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는 “국민연금공단조직 운영 효율화를 위해 이사회를 거쳐 이미 결정돼 현재 16개 상담센터가 폐쇄됐다. 찾아가는 서비스로 가평군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라고 답했다.

가평군도 가평센터 폐쇄 방침에 반대하며 지난 21일까지 범군민 서명운동을 벌였다.

군은 서명에 동참한 지역 주민들의 뜻을 공식적으로 국민연금공단에 전달할 계획이다.

서태원 가평군수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어려움을 겪는 가평군의 현실을 외면한 가평상담센터 폐쇄 방침은 군민에게 깊은 상실감을 주고 있다”라며 “가평상담센터는 군민의 권리를 지켜온 공공서비스의 상징으로서 반드시 존치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 관계자는 “가평군의회의 본사 방문 및 가평군민, 가평군 등 지역의 요구를 충분하게 경청하고 있다”머 “심사숙고했지만, 현재로서는 폐쇄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인력과 예산이 투입되는 물리적인 공간도 중요하지만, 찾아가는 상담 등 이동형 사무소 운영과 같은 대안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서비스 확대가 본질적인 목적이다. 대개 서비스 연령층은 60대 미만이어서 디지털 모바일 등 현실에 맞는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서비스가 질적으로 저하되지 않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가평=정재석 기자 fugoo@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