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업량 감소로 보유 배 두 척 중 한 척만 가동
일부 어민은 낙지·소라 등 조업 다변화

2025년 6월 23일 오전 4시46분쯤.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어선 한 척이 어둠을 가르며 조용히 바다로 나섰다. 배에는 외국인 선원을 포함해 8명이 몸을 실었다. 목적지는 연평도에서 2시간 가량 떨어진 인천의 대표 꽃게 어장, ‘연평 어장’이다.
꽃게 어장에 도착하자 선원들은 부표에 묶인 밧줄을 끌어 올리기 시작했다. 그물에 엉겨 붙은 꽃게를 떼어내는 손길이 바빠졌다. 하지만 꽃게는 지난해만큼 올라오지 않았고, 알을 품은 암컷 꽃게(알배기)도 좀처럼 보이지 않았다.

조업을 마친 배는 오후 3시쯤 다시 연평항으로 돌아왔다. 육지를 떠난 지 10시간 만이었다. 이날 잡은 꽃게는 약 750㎏. 15상자(1상자당 50㎏ 내외) 분량이다. 꽃게가 담긴 플라스틱 상자는 포크레인을 이용해 트럭에 옮겨졌고, 연평도 선주협회장인 김정희(60)씨가 운영하는 공장으로 운반돼 선별 작업이 이뤄졌다.
“2024년에는 하루에 60~70상자, 재작년에는 100상자 가까이 잡혔어요. 그런데 올해는 지난해의 20~30% 수준밖에 안 됩니다.” 김정희씨는 말끝을 흐리며 한숨을 내쉬었다.

15상자를 경매에 내놓으면 600만~700만원을 벌지만, 선원 급여, 유류비, 공장 운영비 등을 내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조업량이 줄어든 탓에 김씨는 보유 중인 두 척의 배 중 한 척만 가동하고 있다.
꽃게가 줄어든 건 김정희씨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연평도 어민들 모두가 겪고 있는 현실이다.
연평도에서 꽃게를 잡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다. 이 중 닻자망 어선, 일명 ‘닻배‘는 수백 m에 달하는 긴 그물을 조류가 센 곳에 고정하고, 꽃게가 지나가는 길목을 가로막아 잡는 방식이다. 통발은 원통형 철제 구조물에 미끼를 넣어 유인하는 방식이며 안강망은 물살을 따라 잠자리채처럼 생긴 그물로 꽃게가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어업에 40년 넘게 종사해 온 박태원(65) 선장도 “조업을 포기해야 하나 고민이 들 정도”라고 말했다.

박 선장은 최근 꽃게가 거의 잡히지 않자 낙지, 소라 등으로 어종을 바꿔 조업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낙지는 지난 6월 중순부터 금어기에 들어갔고 결국 지금은 소라 잡이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박 선장도 전날 오전 3시30분쯤 일어나 출항 준비를 마치고 한 시간 뒤 바다로 나섰다. 연평 어장까지 이동해 통발을 걷고, 소라를 채취해 돌아오기까지 꼬박 11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수익은 턱없이 부족하다. 잡은 소라는 약 200㎏. 경매가는 60만~70만 원 수준이었다.
“하루 반나절을 바다에 있다 보면 몸이 녹초가 돼요. 여기서 미끼값, 기름값, 운반비, 조합 수수료 다 빼면 남는 게 없어요. 꽃게고, 소라고 잘 안 잡히니까 나가면 손해고, 그렇다고 안 나갈 수도 없는 상황이라 답답할 따름입니다. 하루 벌어 하루 버티고 있는데, 정말 힘듭니다.”
/연평도=이나라 기자 nara@incheonilbo.com
인터렉티브 기사 링크: [섬, 하다] 꽃게는 줄었지만 삶은 계속된다…연평도 어민의 하루
*인터랙티브 기사는 사용자가 스크롤이나 클릭을 통해 내용을 직접 탐색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체험형 기사다. 인터랙티브 기사는 인천일보 홈페이지 상단 ‘인터랙티브’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