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 인천지부가 지난해 과로로 사망한 특수교사 진상조사 결과를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6일 전교조 인천지부는 성명을 통해 “한 명의 교사가 왜 죽음에 이르렀는지, 어떤 조건이 그를 고립시켰는지, 그리고 시교육청은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에 대해 모든 시민과 교직 사회는 알 권리가 있다”며 “교사의 죽음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이며, 구조적 문제와 책임 소재를 드러내는 핵심 기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진상조사 결과보고서를 공개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교육청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뜻이며, 유가족과 교사들, 그리고 시민 전체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우리는 진상조사 결과보고서의 공개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故 김동욱 특수교사 사망에 관한 제21회 진상조사위원회 회의가 시교육청에서 열렸다.
본 회의는 6개월여 간의 진상조사단 활동을 마무리하며 작성된 결과보고서를 진상조사위에서 심의하고 채택 여부를 결정하려는 목적으로 개최됐다.
심의 안건에는 시교육감 추천 조사단원의 보고서와 유족 및 교원단체 추천 조사단원의 보고서, 2개의 진상조사 결과보고서가 올라왔다.
양측 보고서 모두 특수교사 사망을 두고 시교육청의 일부 책임이 있다는 부분에는 의견이 같았으나, 책임 범위를 놓고는 차이가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 당일 50여명의 특수교사들이 회의 종료까지 회의장 복도에서 ‘교육감의 책임 있는 태도와 결과보고서의 공개’를 요구했으나, 끝내 공개되지 않았다.
전교조 인천지부 관계자는 “장시간 진행된 이번 진상조사위 회의는 사망사건 관련 조사 대상에 관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로 비공개로 진행됐고, 결과보고서의 채택 여부가 미뤄지면서 공식적인 공개 계획 역시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책임 있는 자들을 엄중히 문책하라. 책임자가 없는 시스템은 없다”고 밝혔다.
/전민영 기자 jmy@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