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산도 인근 족도서 좌초…승객 27명 경상
해경 함정·항공기 총동원해 전원 안전 이송

전남 신안 해상에서 260여 명이 탄 대형 여객선이 좌초했으나, 탑승객 전원이 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목포해경에 따르면 전일 오후 8시17분께 신안군 장산면 장산도 남방 족도에서 2만6천546t 규모의 카페리 ‘퀸제누비아2호’가 좌초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해당 여객선에는 승객 246명, 승무원 21명 등 총 267명이 탑승해 제주에서 목포로 향하던 중이었다.
여객선은 무인도 족도 지형 위로 선체 절반가량이 걸린 상태였으며 충격으로 승객 27명이 통증을 호소했지만 모두 경상으로 확인됐다. 선체 일부 파손 흔적이 있었으나 침수는 발생하지 않았다.
사고 직후 일부 승객들은 “쾅 소리 후 배가 기울었다”, “구명조끼 착용 안내방송이 나와 최상층으로 대피했다”는 글을 SNS에 올리며 긴박했던 순간을 전했다.

해경은 경비함정·구조정을 대거 투입해 구조 작업을 진행했고, 오후 11시27분께 탑승객 전원 구조를 완료했다. 구조된 승객들은 해경 함정으로 옮겨져 목포해경 전용부두로 이송됐다. 첫 구조 인원은 오후 11시10분 도착했으며 마지막 구조 인원은 20일 0시40분께 부두에 닿았다.
구조에는 경비함정 17척, 연안구조정 4척, 항공기 1대, 서해특수구조대 등이 동원됐다. 승객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했으며, 어린이·임신부·노약자 등 취약계층이 우선 구조됐다.
승무원 21명은 예인 작업 등을 위해 사고 해역에 남아 사고 수습했고, 예인선 4척이 만조 시간에 맞춰 선미에 줄을 묶어 당기는 방식으로 좌초 상황에서 벗어났다.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한 여객선은 사고 발생 9시간 27분 만인 20일 오전 5시 44분께 목포시 삼학부두에 2차 사고 없이 무사히 입항했다.
퀸제누비아2호는 길이 170m, 폭 26m 규모의 대형 카페리로 최대 1천10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2021년 취역해 2024년 2월부터 목포–제주 항로를 운항하고 있으며, 사고 당시 차량 118대도 선적돼 있었다.
사고 소식이 전해지자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인명 피해가 없도록 신속히 대응하고 구조 상황을 실시간 공개하라”고 지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등 정부·여야 지도부도 총력 대응을 주문했다.
현장을 찾은 김영록 전남지사는 “인명 피해가 없어 다행”이라며 “선사 측 과실 여부는 해수부와 해경이 조사해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수경 기자 skkim@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