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비 5억 추경으로 반영하고
올 본예산도 8억8000만원 책정
추진 상황 저조하고 성과 없어”

市 “사유지 비중 커 비용 부담
공유지 확대 방향 설계 조정 중
용역 완료되는 대로 정부 협의”

'스마트 오토밸리' 백지화에
“市 차원서 인프라 지원 필요”

▲ 인천시의회 전경. /사진제공=인천시의회
▲ 인천시의회 전경. /사진제공=인천시의회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인천시의 'F1(포뮬러원) 그랑프리 인천 유치' 사업이 별다른 성과 없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항 첨단 중고차 수출단지 조성 사업이 무산된 가운데 시가 중고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유경희(더불어민주당·부평구2)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은 19일 국제협력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인천시가 지난해 'F1 인천 그랑프리 기본구상 및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 5억원을 추경으로 밀어붙였고, 올해도 8억8000만원을 본예산에 편성했음에도 사업 추진 상황은 너무 저조하며 실체가 없다”고 비판했다.

시는 지난 6월 해당 용역을 시작해 이달 중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도심 서킷(경주용 도로) 디자인에 사유지가 과도하게 포함돼 디자인 변경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최종 완료 시점은 내년 1월로 연기된 상태다.

김영신 시 국제협력국장은 “기존 설계는 사유지 비중이 높아 비용 부담이 컸다”며 “공유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조정 중이고 미집행분은 내년도 예산으로 이월하겠다”고 답했다.

유 위원장은 F1 대회를 국비 지원 대상으로 포함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F1이 세계 3대 스포츠 대회로 꼽히지만 국내 지원법에 포함되지 않아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난해 초부터 강조해왔다”며 “그러나 법 개정도, 국비 확보 계획도 여전히 미비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김 국장은 “정부와 협의하려면 타당성 결과가 필요하다”며 “용역이 완료되는 대로 본격 협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인천 회의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당초 예상치를 웃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시는 올 7~8월과 10월 인천에서 분산 개최된 회의에 총 5000여명이 방문해 409억원의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는데 실제 방문객은 8000여명이며 파급 효과는 711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날 진행된 산업경제위원회의 미래산업국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중고차 수출 기반 조성과 관련해 시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시와 함께 인천남항 일대에 첨단 중고차 수출단지인 스마트 오토밸리를 조성하려 했으나 IPA가 민간 사업자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하면서 사업이 백지화됐다.

박창호(국민의힘·비례) 의원은 “충남 당진은 지자체가 주도해 'K-모빌리티 허브'를 조성 중인데 인천은 수년째 IPA 주도로만 추진되면서 답보 상태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이순학(민·서구5) 의원은 “인천은 전국 중고차 수출 물량의 70% 이상을 차지하지만 저가 차량 중심 수출 구조로 마진율이 낮다”며 “지역 중고차 산업 위상이 하락하지 않도록 시 차원의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지금은 첨단 중고차 산업단지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그림을 그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관계 부처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협의 중이며 정부 차원의 제도와 법률 제정도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