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모나코에서 진행된 F1 그랑프리 대회 모습. /인천일보DB
▲ 지난해 모나코에서 진행된 F1 그랑프리 대회 모습. /인천일보DB

인천시가 추진 중인 ‘F1(포뮬러원) 인천 그랑프리’ 유치 사업이 별다른 성과 없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인천시의회에서 제기됐다. 한편 올해 인천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는 700억원이 넘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유경희(더불어민주당·부평구2)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은 19일 오전 열린 국제협력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시가 지난해 ‘F1 인천 그랑프리 기본구상 및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 5억원을 추경으로 밀어붙였고, 올해도 8억8000만원을 본예산에 편성했음에도 사업 추진 상황은 너무 저조하며 실체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미 예산을 책정해 놓고도 용역이 계속 지연되면서 올해 예산은 단 한 푼도 집행하지 못한 채 전액 이월된다”며 “국정감사에서도 여야를 막론하고 우려가 제기됐다”고 비판했다.

시는 지난 6월 해당 용역에 착수해 이달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도심 서킷(경주용 도로) 디자인 변경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완료 시점을 내년 1월로 연기한 상태다.

서킷 설계 구간에 사유지가 과도하게 포함돼 비용 증가가 우려되자 공유지를 최대한 포함하는 방안으로 재조정이 필요해졌다는 설명이다.

김영신 시 국제협력국장은 “최근 용역에서 나온 도심 서킷 디자인은 사유지가 많이 포함된 탓에 비용 부담이 커 공유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조정 중”이라며 “집행되지 않은 예산은 내년으로 이월하겠다”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F1 대회 유치를 위한 국비 확보 방안이 미흡한 점도 지적했다. 현재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는 월드컵·올림픽·아시안게임 등만 포함돼 있어 대회 개최 시 국비 지원 대상에 F1이 포함되지 않는 상황이다.

그는 “F1이 세계 3대 스포츠 대회로 꼽히지만 국내 지원법에 포함되지 않아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난해 초부터 강조해왔다”며 “그러나 법 개정도, 국비 확보 계획도 여전히 미비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정부와 협의할 때 근거 없이 갈 수는 없다”며 “용역이 마무리되는 대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본격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올 7~8월과 10월 인천에서 분산 개최된 APEC 회의는 예상보다 방문객이 많아 당초 예측치보다 더 큰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1개 회원국 대표단 5000여명이 방문할 것으로 보고 경제 파급 효과를 409억원으로 추산했는데 실제 방문객은 8000여명이었고 지역 경제 파급 효과는 711억원으로 집계됐다.

김 국장은 “APEC 분산 개최로 약 711억원의 지역 경제 효과가 있었다”며 “향후 정상급 국제회의가 한국에서 열린다면 인천에서 개최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