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시민참여위 보존 결정 외
토양 오염 정화 과정서 50여동 철거
대상 늘 수도…인천시 “국방부와 협의”

▲ 인천 캠프마켓 구역도와 시설물 현황. /자료=인천시
▲ 인천 캠프마켓 구역도와 시설물 현황. /자료=인천시

토양 오염 정화를 앞둔 인천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D구역'에서 50여개에 이르는 근대 건축물이 철거 수순을 밟는다. 인천시는 국가유산청이 보존 권고한 건축물에 더해 주한미군 빵공장 등 일부 시설만 활용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정화 과정에서 근대 건축물 추가 철거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남아 있다.

시는 이달 안에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를 열어 D구역 보존 건축물을 심의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시민참여위원회는 지난 두 달간 D구역 존치 건축물을 선정하는 소위원회를 운영했다. 존치 검토 대상은 국가유산청이 '가능한 범위에서 보존'을 권고하며 2등급으로 분류한 8개 건축물이다. 시 관계자는 “국가유산청 조사에서 1등급으로 보존 의견이 제시된 8개 건축물뿐 아니라 2등급 중에서도 역사성을 고려해 추가 보존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캠프마켓에서 마지막으로 반환된 D구역(22만9235㎡)은 전체 면적(44만㎡) 가운데 절반을 차지한다. 시가 최근 완료한 '캠프마켓 내 시설물 조사 및 연구용역' 자료를 보면, 현존하는 캠프마켓 80개 시설물 가운데 72개가 D구역에 몰려 있다.

국가유산청이 1등급으로 분류한 시설에 더해 시민참여위원회가 추가 보존 대상을 선정하더라도 50개가 넘는 근대 건축물은 토양 오염 정화 과정에서 철거가 불가피하다. D구역에는 일제강점기 군수공장이자 강제동원 현장인 '인천육군조병창' 건물들이 남아 있다.

국가유산청 보존 권고 목록에서 빠진 주한미군 제빵공장은 일단 철거 신세에서 벗어났다. 시는 올 초 '캠프마켓 기본계획(마스터플랜)'을 수립하며 빵공장을 카페·도서관을 결합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계획을 내놨다.

시는 시민참여위원회 심의를 거쳐 존치 대상으로 선정하는 건축물 목록을 국방부에 통보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하반기 안에 토양 정화 기본설계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기지 반환 구역에서 토양 오염 정화 의무는 국방부가 지닌다.

다만 정화 과정에서 근대 건축물 추가 철거 논란에 직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B구역에서도 정화 작업 중 건물 하부 오염이 확인된 조병창 병원 건물 일부가 철거됐다.

시 관계자는 “미군공여구역법은 지자체가 지상물 활용을 희망하면 이를 제외하고 오염 토양을 제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오염 정화 때문에 건축물 추가 철거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국방부와 시가 협의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