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29% 23만㎡ 정화 필요
71개동 중 상당수 철거 예고

인천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가운데 마지막으로 반환된 'D구역'에서 30% 면적에 가까운 토양 오염이 확인되면서 일제강점기부터 미군 주둔 시기까지 쓰인 근대 건축물이 운명의 기로에 놓였다. 국가유산청은 8동에 대한 보존 의견을 냈는데, 오염 정화를 앞두고 인천시는 실무 위원회를 꾸려 활용 건축물 선별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시는 이달 초 개최 예정인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에서 D구역 존치 건축물 선정 소위원회 구성 안건을 심의한다고 1일 밝혔다.
시민참여위원회에서 시는 D구역 토양 오염 정밀조사 결과를 공유한다. 국방부가 지난 4월까지 8개월간 진행한 정밀조사에선 22만9235㎡ 면적인 D구역 부지 가운데 29%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캠프마켓 반환공여구역(44만㎡)에서 절반을 차지하는 D구역 토양 오염은 이미 기정사실화된 상태다. 2023년 환경부가 공개한 환경조사 보고서에서도 27%에 해당하는 7만1010㎡ 면적에서 다이옥신·유류 등 오염이 확인됐다.
국방부가 지난달 부평구에 토양 정밀조사 이행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정화 작업도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하반기에는 토양 정화 기본설계가 진행된다.
토양 오염 정화를 앞두고 시가 D구역 건축물 소위를 꾸리는 건 근대 건축물 철거를 둘러싼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조처로 풀이된다. '캠프마켓 기본계획(마스터플랜)'을 보면 D구역에는 71개 건축물이 몰려 있는데, 정화 과정에서 상당수 건축물 철거가 예고된 까닭이다. 캠프마켓 기본계획에는 D구역에서 7개 건축물만 활용 대상에 포함됐다.
국가유산청은 최근 완료한 D구역 근현대 건축물 조사에서 8개 건물에 대해 보존(1등급)을 주문했다. 가능한 범위에서 보존을 권고한 2등급 건축물도 8개, 기록화를 판단한 3등급 건축물도 10개로 나타났다. 다만 캠프마켓 기본계획에서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안이 수립된 주한미군 제빵공장은 국가유산청이 판단한 보존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국가유산청 의견과 캠프마켓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국방부와 건축물 존치 협의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 군부대이전개발과 관계자는 “건축물 활용 계획을 세우더라도 정화 설계 과정에서 존치가 가능한지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