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실 현대화 예산 편성 '늑장'
환기개선사업 이행률 31% 뿐
종사자들 “보여주기식 정책”


경기도교육청이 자율선택급식을 확대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선 급식실 종사자 처우 및 현장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일보 8월19일 6면 더 세진 급식실 업무…종사자 곡소리>
20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교육청은 2022년부터 자율선택급식을 도입했다.
자율선택급식은 학생이 식단, 식사량 등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급식 방식이다.
2025년도 자율선택급식 운영 예산은 교당 1500만원으로, 참여학교와 실천학교 등 총 564교에 들어가는 전체 예산은 84억6400만원이다.
2022년 10교(교당 4000만 원) 40억원, 2023년 70교(교당 1억 원) 70억 원, 2024년 250교 (교당 1500만 원) 37억 5000만 원으로 매년 늘고 있다.
하지만 급식실 현장에서 요구하는 급식실 현대화 개선 사업 예산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각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지료를 보면, 경기도의 급식실 환기개선사업 이행률은 31%에 불과하다.
급식실 종사자들은 열악한 환경에 근무하며 건강도 악화됐지만 시설이나 처우 개선보다는 급식 시스템 변경을 추진해 업무강도가 더 세졌다고 말한다.
한 영양사는 “그때그때 교육청에서 지원을 해주기는 하지만 조리 기구가 중간에 고장 나는 경우도 있고 사용 연한이 다 된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것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않는다”며 “학교 급식시설 짓는 것을 현장에 있는 영양 교사 선생님들한테 다 떠넘기고 있다”며 토로했다.
그러면서 “최근 학교에서 아침 급식을 주는 것을 추진하려고 하는데 조리사 선생님도 없고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아침 급식을 하려면 새벽 5~6시에 나와야 하는데 너무 힘들다”며 “지자체는 좋지만 현장을 고려하지 않는 보여주기식 정책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친환경 급식 정책 등을 확대하고 기본 방향으로 학교급식시설 개선 등을 추진하는 인근 지자체와 반대된다는 지적이다.
서울시에선 서울시 유치원·초·중·고교에 친환경 농산물·수산물·축산물을 적정한 가격에 공급하기 위해 서울시 친환경 유통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시와 교육청, 지자체가 비용을 부담하며 2026년까지 '서울든든급식'으로 서울시내 어린이집까지 확대 공급한다.
인천시에선 '2025학년도 학교급식 기본방향'으로 HACCP 기준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학교급식시설 개선을 추진한다. 내용에는 고온다습한 조리실 여건 개선을 위해 냉방기 상태 확인 및 개선, 공조장치 및 인덕션 등 설치를 권장 등이 포함됐다.
/고륜형 기자 krh0830@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