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성영(국민의힘·중구2) 인천시의원이 5일 오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제3연륙교 명칭과 요금에 대한 의견 개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 신성영(국민의힘·중구2) 인천시의원이 5일 오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제3연륙교 명칭과 요금에 대한 의견 개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3연륙교 명칭이 ‘청라하늘대교’로 확정된 것과 관련해 인천 중구 정치권이 “영종과 청라 모두의 정체성을 반영하거나 인천을 대표할 공정한 명칭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신성영(중구2)·임관만(중구1) 인천시의원과 이종호 중구의회 의장, 강후공·손은비·한창한 중구의원, 서현석 배준영(중구강화군옹진군) 국회의원 수석보좌관 등 국민의힘 소속 중구 정치권 인사 7명은 5일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종을 배제한 명칭 결정은 납득할 수 없다”며 ‘청라하늘대교’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제3연륙교는 영종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를 잇는 다리임에도 한쪽 지역 지명만을 반영한 이번 결정은 양 지역 주민 화합과 상생이라는 상징성을 외면한 처사”라며 “영종 주민들이 건설 재정에 실질적으로 참여한 만큼 이름 역시 양 지역을 모두 포함하거나, 인천과 대한민국을 대표할 공정한 명칭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행료 문제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한창한 의원은 “제3연륙교 건설 재정은 영종·청라 주민 아파트 분양 대금에 포함된 분담금으로 마련됐고, 일부 사업 추가 비용은 민자 다리 사업자와 협상 지연으로 발생한 것으로 주민 부담이 아니다”라며 “그런데도 주민에게 통행료를 부과하는 건 심각한 권리 침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일부에서 언급되는 하루 1회 무료 통행 방안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며 “결국 주민이 납부한 혈세로 주민 스스로를 지원하는 모순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법적 쟁점도 제기됐다. 손은비 의원은 “현행 유료도로법 제4조에 따르면 유료도로 신설 시 무료 대체 도로가 있어야 하는데, 영종은 현재 인천대교·영종대교 모두 유료”라며 “제3연륙교마저 유료화한다면 법 취지에도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들은 “영종·청라 주민에게는 통행료 완전 무료화를 보장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편 제3연륙교 명칭은 지난달 28일 인천시 지명위원회에서 ‘청라하늘대교’로 결정됐다. 이에 대한 이의 제기는 30일간 가능하며, 재심의에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국가지명위원회로 넘겨져 판단받게 된다.

/글·사진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키워드
#인천일보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