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국내 직영 서비스 센터와 부평공장 유휴 부지를 매각하겠다는 한국GM 의 ‘깜짝’ 발표 이후 노사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지속 가능성을 위한 경영 효율화 방안’이라는 사측과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나쁜 구조조정’이라고 보는 노측의 입장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모양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는 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교흥(인천 서구 갑) 국회의원 등 ‘한국지엠 구조조정 반대를 위한 국회의원단’과 함께 기자회견을 연다고 8일 밝혔다.
노조는 이 자리에서 지난달 28일 전국의 9개 GM 직영서비스센터를 순차적으로 매각하고 부평공장 내 일부 토지를 매각하겠다고 한 한국GM 발표와 관련해 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특히 노조는 이번 사태에 대해 한국지엠 2대 주주로 지분 17.02%을 보유한 산업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8년 군산공장 폐쇄 당시 한국GM은 산업은행으로부터 공적자금 8100억 원을 지원받은 바 있다.
노조는 “(당시) 한국GM은 군산공장과 서울‧동서울 직영정비센터, 부평LOC(물류센터), 부천연수원 부지 등을 매각하며 막대한 수익을 올렸고, 최근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도 올해 수출 물량을 3만1000대 추가 생산하기로 결정했다”라며 ‘급변하는 산업 및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와 비즈니스 효율성 확보’를 명목으로 추진하는 이번 발표 대책에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GM은 지난달 29일 인천시 담당자와 만난 자리에서 부평공장 유휴 자산 매각 계획과 관련해 외부 기관 실사를 통해 구체적인 자산 매각 규모와 방법 등을 정할 것이란 입장을 전달했다.
그간 대내외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을 때마다 한국GM ‘철수설’이 나온 적은 있지만 회사가 공식적으로 자산을 ‘매각’하겠다고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희근 기자 allways@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