④ 1기 신도시 정비사업 활성화

국토부, 노후계획도시 지정 돌입
'부산 해운대' 유력 후보지 거론
우선순위 '남부권역' 지정 분위기
일각, 인천 '사각지대' 우려 제기

▲ 인천 연수구 연수구지 일대./사진제공=연수구
▲ 인천 연수구 연수구지 일대./사진제공=연수구

정부가 지난해 가장 먼저 재건축에 돌입할 선도지구를 일산과 분당 등 경기지역 1기 신도시에 집중 선정했던 것에 이어 올해부터는 전국 노후계획도시 중심으로 지정 작업에 돌입한다.

2025년 국토교통부 계획상 대표 택지로 인천에선 연수, 부산에선 해운대 등이 이름을 올렸다.

그중에서도 정비기본계획 수립 속도가 빠른 부산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인천 차례는 아직 멀었다”는 말이 현장에서 나온다.

지난 1월15일 국토부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지원기구 점검회의'를 열고 인천 연수·부산 해운대·대전 둔산 등 전국 노후계획도시로 정비 확산을 추진하기로 하고 상세계획을 논의한 바 있다.

현재 정비기본계획 수립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부산으로 전해진다. 다만, 인천도 국토부 정비 확산 대상 목록에 오른 만큼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기대다.

노후계획도시는 1980~1990년대 조성돼 20년 이상 경과한 택지 등이 대상이다. 면적은 100만㎡ 이상이어야 한다.

인천에서는 연수지구(621만㎡), 계산지구(161만㎡), 구월지구(126만㎡)와 연접해 택지 합이 100만㎡ 이상인 부평·갈산·부개지구(161만㎡), 만수1·2·3지구(145만㎡) 5곳이 대상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 '2030 인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타당성 검토 및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기도 했다.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시행되는 이번 선도지구 지정이 경기 1기 신도시에서 수도권 밖으로 시선이 옮겨지며 일각에선 인천은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인천지역에만 5곳인 대상 지구마다 성격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정부 지침 결정 과정을 살피면서 신중하게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우선순위도 부산 등 남부권역으로 옮겨지는 분위기라 인천 순서는 당장 오지 않을 거란 관측 때문이다.

인천 연수가 이제 가시권에 든 와중에 남은 계산, 구월, 부평·갈산·부개, 만수1·2·3지구 등은 언제 정책 가시권에 진입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