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14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열린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2025년 420 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발족식’에 참석한 인천공동투쟁 단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인천일보DB
▲ 지난 4월 14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열린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2025년 420 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발족식’에 참석한 인천공동투쟁 단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인천일보DB

인천 미추홀구의회가 지역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수어통역센터 설치에 나서 관심이 모아진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인천시 등록 장애인은 15만3568명으로 인천시 전체 인구(304만9315명)의 5.03%에 이른다. 이중 청각·언어 장애인은 2만9953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19.50%를 차지한다.

현재 인천지역 청각·언어 장애인을 위한 수어통역사는 34명으로, ㈔한국농아인협회 인천시협회가 운영하는 인천수어통역센터 소속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수현(도화1동, 2·3동, 주안5동, 6동) 미추홀구의회 구의원은 이번 제292회 정례회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어통역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조례안에는 ‘청각‧언어장애인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을 위한 한국수어 사용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구청장 책무로 규정했고 센터 설치 및 재정 지원 근거 등을 담았다.

이 의원은 지난 20일 열린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 등 전국 수어통역센터 설치율은 91%에 달하는데 인천은 10개 군·구 어디에도 센터가 한 곳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청각·언어장애인의 정보접근권, 생존권, 의사소통권이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특히 미추홀구는 청각·언어장애인이 5220명으로 지역에서 세 번째로 많다. 구가 단순 행사성 예산에는 수억 원을 편성하면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1억 2천만 원 규모의 매칭 예산을 부담스럽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구가 인천에서 가장 먼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수어통역센터 설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희근 기자 allways@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