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의 감시·대안·연대 기능 강화 필요성 제기
“기후위기, 우리 동네 이야기로 풀어내야”
정책 감시·그린워싱 검증·기획기사 확대 공감대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과 인천경기기자협회, 경기시민발전협동조합협의회가 함께 ‘기후위기 보도와 지역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기후저널리즘 토론회를 열었다.
협의회는 경기도내 28개 시군의 39개 시민참여형 에너지협동조합이 함께하는 단체로,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시민참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는 경기민언련과 함께 기후보도모니터단을 꾸려 지역언론의 기후·에너지 보도를 분석했다.
이날 안명균 경기시민발전협동조합협의회 회장은 “모든 기초자치단체가 탄소중립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이행평가를 받는다”며 “이 과정이 언론을 통해 시민사회 논의로 확장돼야 한다. 지역언론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자연 인천경기기자협회 경기일보지회장은 황성규 회장의 인사말을 대독하며 “세 단체는 앞으로 기후변화 관련 올바른 보도를 위해 협력하고, 공론의 장을 마련하는 데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진영 경기민언련 공동대표는 “이번 토론회는 비판보다 연대의 장”이라며 “언론·시민단체·현장 활동가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해 경기도 행정을 감시하고, 기후위기 대응 방향을 함께 제시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주제발표는 정창욱 경기민언련 사무처장이 맡았다. 그는 ‘경기도 지역신문의 기후위기 보도 현실과 대안’을 주제로 발표하며, 기후저널리즘의 방향으로 ▲지역밀착형 ▲솔루션 ▲워치독 ▲횡단적 저널리즘을 제시했다.
정 사무처장은 “기후위기를 ‘지금, 여기, 우리 동네의 문제’로 구체화하고, 시민 제보와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의 이야기로 풀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단순한 문제 제기보다 제도적·정책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솔루션 보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31개 시군의 탄소중립계획이 적절히 추진되는지, 예산이 투명하게 쓰이는지를 감시해야 한다”며 “기업의 ESG 경영이나 탄소감축 선언이 단순 홍보에 그치는 ‘그린워싱’인지 검증하는 것도 지역언론의 역할”이라고 지적했다.
정 사무처장은 또 “‘환경부서의 일’에 머물지 않고, 행정·경제·교육 등 전 부문에서 기후이슈를 다루는 횡단적 저널리즘이 필요하다”며 “기후보도는 기자 개인의 의지를 넘어, 언론사·행정·기관이 함께 만드는 지원 생태계 속에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에는 강기정 인천경기기자협회 사무국장, 노광준 OBS라디오 PD, 이홍근 경기도의원, 남동진 고양신문 기자, 김시경 대부도협동조합 상임이사가 참여했다.
강기정 사무국장은 “지역언론과 시민사회의 긴밀한 네트워크가 형성돼야 다양한 기후 의제가 풍성해질 것”이라며 “우리의 이야기를 담은 보도가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노광준 PD는 “날씨는 지역언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홍수·가뭄 등 지역별 기후 이슈를 세밀하게 다루는 게 진정한 기후보도”라고 강조했다.
이홍근 경기도의원은 “기후정책은 제도화됐지만 그 이행 과정은 언론 보도가 부족하다”며 “단편 기사보다 기획 보도를 통해 정책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남동진 고양신문 기자는 “기후위기를 지역의제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속가능한 교통’ 같은 생활 속 주제에서 독자와 공감대를 쌓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시경 대부도협동조합 상임이사는 “7개월간의 모니터단 활동을 통해 기후보도의 중요성을 실감했다”며 “재생에너지 산업이 지속되려면 좋은 기후저널리즘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