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기술 보급 '음식점' 최다
학교·교육 분야 디지털화 '속도'
온라인 학습시 저소득 아동 소외
스마트 기기 보유 등 이유 '열악'
부작용 따른 선제적인 조치 없어
![[AI시대 정보 불평등 현주소] (상) 빠른 정보화 - 더딘 취약층…디지털 격차 심화](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511/1309362_638255_421.jpg)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은 현재 우리사회는 정보화 속도가 빨라졌지만, 정보 격차는 오히려 심화하고 있다. 세대, 계층, 기술 활용 능력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것인데, 특히 고령층·장애인·농어민·저소득층·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의 정보 불평등 현상이 심각하다.코로나19 이후 정보 격차는 단순한 디지털 기기 보급 여부가 아닌 '정보 접근 능력' 문제로 확산하는 모양새다.이에 인천일보는 AI 시대 정보 불평등의 현주소와 정보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 확대 방안, 전문가 제언 등을 3차례에 걸쳐 보도한다.

코로나19 이후 무인 주문, 비대면 행정,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 '디지털 우선'이 표준이 된 시대다.
그러나 이면에는 기술을 능숙하게 다루는 도민과 이를 따라가지 못하거나, 신체 등의 제약으로 사용자체가 불가능한 도민간의 격차가 뚜렷해지고 있다.
경기지역만 보더라도 그림자는 선명하게 드러난다.
18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코로나19 이후 경기지역 사회는 디지털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2019년 경기도의회에선 디지털 전환 특별위원회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경기시장상권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지난해 소상공인 199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349명(17.5%)이 이미 디지털 또는 AI 기반 기술을 도입했다.
특히 음식점업은 24.9%로 가장 높았다. 키오스크(39.3%), 테이블오더(14.6%), AI 전화·챗봇(20.9%) 등 다양한 기술이 속속 들어섰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물건을 팔고 사려는 변화도 뚜렷하다.
지난해 진흥원이 낸 보고서를 보면 온라인쇼핑 규모는 2017년 94조원에서 2023년 228조원으로 243% 증가했다. 같은기간 모바일 쇼핑 규모도 319% 이상 급증했다.
진흥원은 키오스크 도입 200만원 지원 등 각종 디지털 전환 지원책을 펴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학교, 공공기관에선 이미 정보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내 공공기관의 올해 정보화사업추진 예산만 무려 1288억원에 달한다.
경기도교육청에서도 온라인학교 운영을 준비하는 등 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화가 가속하고 있다.
온라인 학교는 교사가 직접 교육자료를 제작하고 학생에게 공유하는 온라인 기반 학습 플랫폼으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자기주도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곳이다.
그러나 이 같은 디지털화에 따른 세대간, 계층간 불균형도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도내 정보 취약계층 규모는 575만여명에 이른다. 고령층 409만9369명, 장애인 58만4834명, 농어인 28만36명, 기초생활수급자 44만5281명, 다문화가족 34만3605명이다.
이들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제약 등으로 디지털 기기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거 경기연구원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온라인 쇼핑을 능숙하게 한다'는 응답은 전체 89.5%였지만 60대 이상은 69.0%에 머물렀다.
'미래에 디지털 소외계층이 될 것 같아 두렵다'는 응답도 전체 36.4%로 나타났다. 고령층 46.0%, 저소득층 54.0%로 높게 나타났다.
누구에게나 균등한 기회를 제공해야할 교육현장에서도조차 격차가 컸다.
온라인학습시 '스마트기기 보유 및 네트워크 환경이 열악'하다는 응답은 38.9%, '자녀에 대한 온라인학습 지도 어려움'은 24.5%로 나타났는데, 이같은 수업 확대시 49%가 저소득층 아동이 소외될 것으로 판단했다.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시도만 있었을뿐,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선제적인 조치가 없었다는 점이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 2월 정보화취약계층 지원 조례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이석균(국·남양주1) 도의원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공공서비스 제공 방식이 디지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전통적 정보 접근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디지털 공공서비스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