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스티 광장' 경기도 대표 힐링 프로그램 자리매김

음악·문학 등 다양한 콘텐츠와 음식 결합
세대별 맞춤형 구성 호응…식문화 재조명
29일 6회차 테이블 '겨울 디저트 이야기'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에 도민들이 참여해 즐기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에 도민들이 참여해 즐기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경기도 먹거리광장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이 도민들의 꾸준한 호응 속에 5회차까지 마무리됐다. 올해 6월부터 진행된 이 프로그램은 음식에 문화 콘텐츠를 더한 교양형 미식 기획으로, 도민의 일상에 힐링과 교감을 더하는 대표 문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테이스티 광장'은 먹거리 체험을 넘어서 음악·영화·여행·문학 등 다양한 콘텐츠와 음식을 결합한 프로그램이다.

6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5회차에 걸쳐 131명의 도민이 참여했으며, '소수 정예'와 '세대별 맞춤형 구성'으로 높은 만족도를 끌어냈다.

 

▲세대별 맞춤 구성으로 공감과 힐링을 더하다

'테이스티 광장'은 매회 20~30명 내외만 초청해 깊이 있는 체험과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회차별로 세대별 대상을 명확히 설정해 각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핀셋형 콘텐츠'를 선보였다.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에서 강연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에서 강연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1회차 '멜로디가 머무는 여름날의 식탁'(6월 28일)에서는 육아로 지친 3040 부모 26명이 참여해 재즈 해설과 함께 이천·화성 등 경기도산 와인과 제철 농산물 핑거푸드를 즐기며 심리적 힐링의 시간을 가졌다.

2회차 '접시에 담은 한 컷의 정성'(7월 26일)에서는 20명의 청년이 참여해 푸드스타일링 전문가 오예린 대표와 함께 지역 농산물로 샌드위치·에이드를 만들고 촬영 실습을 진행했다.

3회차 '영화처럼 흐르는 한여름의 낮'(8월 30일)에서는 2030세대 1인 가구 청년 30명이 영화 속 음식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으로 만들어진 시식 메뉴.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으로 만들어진 시식 메뉴.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4회차 '지도 위에 그려진 미식의 풍경'(9월 27일)에서는 베이비부머 세대 30명이 참여해 여행작가 안시내 작가의 강연과 함께 인도식 밀크티 짜이·모로코 민트티 등을 맛보며 음식으로 세계문화를 체험했다.

5회차 '가을의 정취를 담은 한 그릇'(10월 25일)은 채식을 주제로 진행돼 포천 표고버섯, 이천 양배추 등 지역 제철 채소로 구성된 건강식 메뉴를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식문화를 조명했다.

 

▲경기도 먹거리광장, '식문화 허브'로의 도약

행사가 열린 수원 경기상상캠퍼스 내 경기도 먹거리광장은 이벤트홀, 스튜디오, 공유주방 등을 갖춘 복합 공간이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식문화의 중심 플랫폼' 기능을 증명했다.

최창수 경기도농수산진흥원장은 “먹거리광장이 요리 체험 공간만 아니라, 식문화 전반을 경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으로 발전했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형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으로 만들어진 시식 메뉴.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의 복합 문화미식 프로그램 ‘테이스티 광장’으로 만들어진 시식 메뉴. /사진제공=경기도농수산진흥원

이어 “문화와 미식이 어우러진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도 도민의 삶 속에 따뜻한 여운을 남길 '경기도 대표 미식 브랜드'로 자리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테이스티 광장'은 오는 29일 열리는 여섯 번째 테이블 '겨울 디저트 이야기'를 끝으로 올해 일정을 마무리한다. 참가 신청은 경기도농수산진흥원 누리집(www.gafi.or.kr)을 통해 17일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