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철 강화군수가 지난 10월 12일 농작물 피해 현장을 찾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강화군
▲박용철 강화군수가 지난 10월 12일 농작물 피해 현장을 찾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강화군

'농민의 날'을 맞은 인천 농민들 표정이 밝지만은 않다.

11일 옹진군에 따르면, 지역 내 농지 2575㏊ 중 농업진흥지역으로 분류된 영흥·백령·북도·덕적면 577㏊(22%)의 해제를 농림축산식품부에 요구하고 있다.

농업진흥지역은 농토 보전을 위해 농사나 농막·가공시설 등 건축 외에는 토지 활용이 금지되는 곳으로, 지역 주민들은 개인의 사유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다며 반발해왔다.

최동호 영흥면 농촌지도자회장은 “예전에는 쌀이 모자라던 시대라 필요했는지 몰라도 요즘에는 남아 돌아 의미가 없다”며 “쓰지 않는 농토인데 농업진흥지역으로 묶여 다른 사람한테 팔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군 관계자는 “노후 주택에 사는 백령도 농민들은 자신의 토지 외에 다른 곳에 집을 지으려면 군부대와 협의해야 하는 애로사항도 있다”며 “이런 문제로 지난 9월에도 지정 해제를 건의했으나 아직 답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9월 말부터 추석 연휴까지 이어진 가을 장마는 올해 벼 수확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강화군에서는 4만7000여 t 중 60t 가량 '피해 벼'가 발생했고, 옹진군은 정부 공공비축미곡 매입량이 5709t에서 5566t으로 줄었다.

박창준 인천옹진농협 조합장은 “비 피해로 인해 땅이 너무 질어 콤바인이 들어가지도 못하고 낫을 들고 논에 들어갈 젊은 이들도 없다. 농촌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안타까워 했다.

/안지섭 기자 ajs@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