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단지역 시민단체들이 환경부에 직매립금지 2년 유예 시도를 즉각 철회하고, 원안대로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검단시민연합,서구발전협의회,인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23일 성명서를 통해 “환경부는 2026년부터 수도권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는데, 시행을 몇 개월 앞두고 일부 지자체가 소각장 증설 등 물리적으로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2년 유예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환경부의 이번 검토는 환경 정의를 훼손하고, 쓰레기 문제 해결을 미루며, 미래 세대에게 막대한 부담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30년 동안 고통받아온 수도권매립지 주변 주민들의 희생을 외면하고 고통을 연장하는 비인도적 처사”라며 강력 규탄했다.
이어 “수도권 직매립 금지는 사회적 합의 사항이며, 이를 파기하는 것은 환경정책 전반에 대한 국민 신뢰를 훼손시키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이들 단체는 환경부에 직매립금지 2년 유예 시도를 즉각 철회와 폐기물 감량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검단시민연합 등은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직매립금지 정책이 반드시 이행될 때까지 시민사회의 모든 역량을 모아 강력히 투쟁해 나갈 것”이라며 “주민, 전문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공개적 논의의 장을 즉각 열고, 책임 있는 대안을 제시하라”고 밝혔다.
/전민영 기자 jmy@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