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청서 집적화단지 주민 설명회
섬 주민·어민 “생업 지장 우려”
상생 방안으로 '현금 중심' 선호
市, 어업 시설·기자재 지원 제안
이달 말까지 산업부에 제출 계획

▲ 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사진제공=인천시
▲ 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시가 덕적도 인근 해상에서 추진 중인 공공 주도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이 정부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공모 참여를 앞둔 가운데 섬 주민들은 여전히 생업 피해를 우려하며 실질적 보상과 대책 수립을 요구하고 있어 합리적 상생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지난 19일 옹진군청 중회의실에서 '인천 공공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사업계획서 공람 및 주민 설명회'를 개최했다.

시는 옹진군·한국중부발전·인천도시공사·인천테크노파크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덕적도 자도인 백아도 서측 22㎞ 해상에 1GW(기가와트) 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섬 주민과 어민들은 해상풍력단지로 인한 생업 지장을 우려하며 충분한 지원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시가 주민 설명회에서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섬 주민 2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3차 해상풍력 숙의 경청회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0%가 해상풍력이 생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답했다. '매우 영향을 준다'와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가 각각 36%, 34%였다.

잘 모르겠다(20%)와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7%),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3%)가 그 뒤를 이었다.

주민들이 선호하는 지역 상생 방안으로는 '현금 지원 중심'이 27%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어업·생업 지원 사업(25%), 지역 인프라 개선(17%), 전기 요금 할인·에너지 복지(16%), 지역 주민 고용·청년 일자리 창출(15%) 순이었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어업 시설·기자재 지원 ▲어촌 관광 로컬 브랜드 활성화 ▲해상풍력 일자리 지원 ▲교육 및 커뮤니티 지원 ▲주거·인프라 지원 등 상생 방안을 도출해 제안했다.

이번 설명회에서 나온 주민 의견을 반영해 오는 24일 민관협의회를 열고 집적화단지 사업계획서를 최종 검토한 뒤 이달 말까지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과 함께하고 지역과 상생하는 인천형 공공 주도 해상풍력 사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