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통과 정보 비공개, 시 발전 저해⋯의회 견제기능 강화 절실
복지전문성 살려 사회안전망 확대·시민 권익 향상 주력

▲정영혜 김포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정영혜 김포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의회의 건설적 긴장은 건강한 에너지다. 의회가 시민의 파트너로서 견제와 균형을 지켜야 행정이 투명해지고 정책이 정교해진다. 시민이 더 나은 행정을 누릴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

정영혜 김포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교육·복지 분야에서 20여 년간 쌓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 목소리를 제도권에서 구현하고 있다. “시민 곁에서 먼저 뛰는 정치”를 모토로, 취약계층 보호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목표로 입법 활동을 이어왔다. 

그는 ▲김포시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영유아 발달 지원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스토킹범죄 예방 및 피해지원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예방 ▲디지털성범죄 예방 및 피해자 지원 ▲장애인 알권리 보장 및 정보격차 해소 ▲지역 통합돌봄 ▲폭염ㆍ한파 피해 예방 및 지원 조례안 등 다수의 복지·안전 관련 조례를 발의·제정했다. 

특히 ‘영유아 발달 지원 조례’를 근거로 아이발달센터 설립이 이뤄진 것은 “현장 목소리를 입법으로 연결한 대표 성과”라고 강조했다. 

예산 감시·행정 견제에 집중 

정 의원은 집행부의 예산 편성·집행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도 지적했다. 세입 추계 부정확성으로 순세계잉여금이 과도하게 발생한 사례를 들어 “예산 편성 시 정확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보예산 불투명 집행과 특정 부서의 언론 통제 의혹을 공론화해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환기시키기도 했다. 

문화재단과 복지재단 통폐합 시도에는 “기관의 유사성도 없고, 용역과 의견 수렴 없는 결정”이라며 반대했다. 그는 “복지재단은 단순 기부금 관리가 아니라 민관 협력과 사회안전망 구축의 핵심 역할을 한다”며 통폐합 철회를 이끌어냈다. 

원내대표로서의 조정·협상 역할 

김포시의회는 여야 7대 7 동수 구조로, 원내대표 간 조정이 핵심이다. 정 의원은 의원총회를 통한 의견 수렴, 자료 공유, 회의록 기록으로 불신을 차단하며 합의를 도출했다. 의원 경력·전문성·정치 상황을 고려한 조정 절차를 거쳐 당내 단결을 유지했다. 

그러나 그는 “민선 8기 집행부의 불통과 자료 비공개로 협치가 막혔다”며, 공동 현안 협의 테이블조차 가동되지 못한 점을 시 발전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정책과 예산 논의는 시민 삶을 위한 경쟁이어야 하며, 사전 설명과 합의 존중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시민 권익 향상 위한 의정활동 

정 의원은 의정 전반에서 시민 권익을 위한 입법과 감시에 힘썼다. 성범죄·아동학대·불법촬영 예방, 폭염·한파 대응 조례 등 생활 안전 조례를 마련했고, 재정 건전성 회복, 생활 SOC 개선, 돌봄체계 구축을 요구했다. 특히 ‘지역통합돌봄 지원 조례’로 2026년 제도 시행에 맞춘 기반을 마련했다. 

정 의원은 앞으로 통합돌봄, 재난 대응,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 등 생활밀착형 입법에 집중할 계획이다. 행정사무감사 권한 확대, 자료 제출 의무 강화, 정책지원 전문인력 확충을 통한 견제·감시 기능 회복도 과제로 꼽았다. 

/김포=글·사진 박성욱 기자 psu1968@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