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기준 병상 가동률 72.4%
코로나19 이전 83.4%에 못 미쳐
의료진 떠나고 환자 발길 줄어
시의회 “공공의료 확충 핵심과제”

인천의료원이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이 선언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병상 가동률이 70%대에 머무는 등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인천의료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병상 가동률은 72.4%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83.4% 수준에는 아직 못 미치고 있다.
인천의료원은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2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직후 일반 환자와 의료진이 대거 병원을 떠나면서 운영에 큰 타격을 받았다.
간호 인력 이탈도 매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최근 3년간 인천의료원을 그만둔 간호사는 총 160명으로 ▲2022년 71명 ▲2023년 57명 ▲2024년 32명이었다. 올해도 벌써 14명의 간호사가 사직서를 냈다.
상황이 이렇자 인천시는 공공의료 인력난 해소를 위해 2023년 인천형 공공간호사 제도를 도입해 이듬해부터 장학생들이 인천의료원에서 2년간 의무 복무하도록 했다.
덕분에 인천의료원 간호사 결원율은 2022년 22%, 2023년 24%, 지난해 20.7%, 지난달 15.5%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앞서 인천의료원 심뇌혈관센터는 지난해 9월부터 모두 11차례의 심장내과 전문의 구인 공고에도 지원자가 없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다가 지난달에서야 의료진이 채용돼 정상 운영에 들어가기도 했다.
이날 시의회에서 열린 제302회 정례회 제2차 문화복지위원회 회의에서도 공공의료 인력난 해소가 인천의료원의 핵심 과제로 지목됐다.
장성숙(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은 “인천의료원 의료 인력이 매우 부족한데 인원 충원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다”며 “뒤늦게 채용하면 기존 인력은 힘들어서 나가고 신규 인력은 일을 잘 못하다 보니 환자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장석일 인천의료원장은 “시에 요청해서 인력을 지원받는 것보다 이직이 더 빠르다 보니 쉽게 채워지지 않고 있다”며 “인력 부족분이 해소되면 그만큼 인천시민에게 돌아가는 의료 혜택도 커진다. 시민 건강을 지키는 데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변성원 기자 bsw906@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