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발전량 4819만여㎿h
이 중 53.7%만 인천서 소비

전력 자립률 186%…과잉생산
“LNG로 전환 시기 앞당겨야”

▲ 인천시의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 계획이 끝내 무산된 가운데 23일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 위치한 영흥화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다. /이재민 기자 leejm@incheonilbo.com
▲ 인천시의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 계획이 끝내 무산된 가운데 23일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 위치한 영흥화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다. /이재민 기자 leejm@incheonilbo.com

“서울·경기와 함께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영흥화력 조기 폐쇄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가 가동된 지 20년이 된 지난해 11월 시민 환경단체인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과 전국 탈석탄 네트워크 '석탄을 넘어서'가 인천시청 앞에서 캠페인을 열고 구호를 외쳤다.

▲ 지난해 11월 인천시청 앞에서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를 촉구하고 있는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과 석탄을 넘어서 회원들. /사진제공=인천환경운동연합
▲ 지난해 11월 인천시청 앞에서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를 촉구하고 있는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과 석탄을 넘어서 회원들. /사진제공=인천환경운동연합

이들 단체는 인천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서울과 경기로 분배되기 때문에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문제에 수도권 지역이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전력 통계상 인천지역 전체 발전량은 약 4819만4891㎿h(메가와트시)다. 이 중 2587만5669㎿h(53.7%)만 인천에서 소비하고, 나머지 2231만9222㎿h(46.3%)는 서울과 경기 등으로 보내진다.

이런 문제는 수도권 지역의 전력 자립률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2023년 기준 인천지역 전력 자립률은 무려 186%에 달하지만 서울은 10.39%, 경기는 62.47%에 불과하다.

인천은 전력을 과잉 생산하고 있고, 서울·경기는 인천 전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문제는 영흥화력발전소 등 발전시설에서 내뿜는 탄소 등 환경 피해를 인천시민이 떠안아야 한다는 점이다.

시가 지난해 발표한 '2045 인천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보면 2018년 기준 인천지역 전체 탄소 배출량 7481만3000t 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 중 발전 부문이 4329만3000t CO2eq로 57.1%를 차지했다.

아울러 시민들은 '영흥화력발전소의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전환'을 통해 탄소중립이 실천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본계획에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포함돼 있는데, 응답자 41.2%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의 석탄 연료를 LNG로 전환하는 시기(2034년)를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하지만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의 LNG 연료 전환 시기 단축이 불가능해졌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의 LNG 연료 전환 시기를 원안대로 2034년으로 정했고, 3·4호기는 2038년까지 양수·수소 발전 등 무탄소 연료로 바꾸겠다는 로드맵을 담았다.

영흥화력발전소 운영사인 한국남동발전㈜ 관계자는 “발전소 운영은 국가 사업 중 하나로 운영 기간은 통상 30년을 목표로 한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조기 폐쇄 문제는 저희가 결정할 권한이 없다. 또한 안정적으로 전력을 수급한다는 목적이 있어 조기 폐쇄를 논의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