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기본부, 지역경제세미나
경기도 현황·대응 전략 논의
서비스산업 고려 맞춤 지원 제언
“데이터 접근성 격차 해소해야”

“경기 지역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필요합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25일 '디지털 전환 시대, 서비스업 성장 전략'이라는 주제로 지역경제세미나를 개최했다.
경기도와 공동으로 진행한 세미나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기도의 현황과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됐다.
한국은행 경기본부 김민정 경제조사팀장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업 성장의 핵심 인프라'라는 주제로 기조 발표를 맡았다.
김 팀장은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스마트폰 보급 이후 2010∼2013년 동안 86.5% 성장했다”며 “2014∼2018년 동안은 간편결제 활성화로 194.3% 급성장했다”고 소개했다. 김 팀장은 “코로나19 이후에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 판매액 비중은 지난해 32.6%를 차지했다”며 “IT 인프라, 물류센터와 근접성이 중요한 온라인 쇼핑 산업은 기존 소매업 보다 수도권 집중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수도권의 온라인 소매업 사업체 수는 전국의 66.9%, 경기도는 3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현학 국민대학교 교수는 '경기 지역 서비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 효과 분석'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경기도는 대한민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문화콘텐츠기술 등 첨단 산업이 집적된 지역”라며 “경기도는 지자체 최초로 AI국을 신설하고 AI비전과 9대 전략을 발표하는 등 정책적 노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 기업은 팬데믹 시기(2020∼201년) 매출 감소폭이 10% 가량 적었다”며 “위기 상황에서 비전환 기업 대비 확실한 비교 우위를 확보했고 고용과 생산성 측면에서도 방패막이 효과를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은 제조업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어 서비스산업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 초기에는 수익성 부담이 커 단기 재무 성과가 제약된다”며 “지역 금융기관과 연계한 디지털 전환 특례보증 상품 개발이나 초기 투자 부담 완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촉진 펀드 조성 등 금융지원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이 독자적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활용이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도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 기업이 동종 업계와 성과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데이터 접근성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원근기자 lwg11@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