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행감 파행 사태가 결국 의정 복합 갈등으로 비화했다. 거기다 시민사회단체도 가세 했다. 양상도 법절차와 책임소재를 따지며 혼탁으로 치닫고 있어 그야말로 점입가경이다. 벌써 절차상 하자를 내세워 양우식 운영위원장 소속 국민의 힘은 절차상 하자를 내세워 행감 거부 공무원 해임과 공식 사과를 요구 중이다.
그러면서 예산안 의결 보류라는 초강수를 던졌다. 민주당 측은 이에 대해 연일 양의원의 사퇴를 압박하며 도 집행부 옹호에 나서는 등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또 민생 발목이 잡힐 게 불 보듯 뻔하다. 시민사회는 양측 모두를 비판하며 도의회 정상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행감 파행의 원인 제공자로 지목된 양의원의 사퇴를 강력 요구 중이다. 이쯤에서 되 짚어보면 도민들의 요구대로 도 의회 운영위 행감 정상화는 양의원이 나서 결자해지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양위원장은 도청직원을 상대로 성희롱 발언을 해 피고인 신분이다. 도 집행부는 이런 운영위원장 주재 행감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이번 사태의 시작이다.
물론 양의원은 아직 무죄추정의 원칙이 유효하지만 도민들로부터 도덕적으로 많은 자탄을 받은 상태다. 사퇴요구도 거셌다. 그럼에도 사퇴는커녕 아무 일 없었던듯 피해집단을 감사하겠다는 것은 상식과 맞지 않는다. 공무원노조도 이점을 지적하며 '4000여 명의 경기도청 공직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 주장하지 않았나. 감사기관을 무시했다며 제 식구 감싸기에 급급한 국민의 힘도 한발 물러서야 한다. 피감기관 본연의 의무를 거부한 것도 아니고 운영위원장 교체가 이루어지면 성실히 감사에 임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더 그렇다. 민주당도 무조건 도 집행부를 두둔할 것이 아니라 의정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
도의회는 여야 간 기 싸움하는 곳이 아니다. 시민사회단체 주장도 허투루 들으면 안 된다. 차제에 각종 비위와 비리, 윤리위반 등에 연루돼 계류 중인 의원들의 징계 처리안도 다시 짚어봐야 한다. 신속 징계를 위해서다. 이번 사태도 이를 미루다 발생한 일인 만큼 행감 파행 사태를 계기로 스스로 춘풍추상 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