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인천본부, 실태조사]

3곳 중 1곳 은퇴·폐업 고려
지원제도 활용률 15.6% 그쳐
준비 미흡…맞춤형 정책 필요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인천 소상공인의 절반 이상이 적자 상태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3곳 중 1곳은 향후 3년 안에 은퇴나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실제 폐업 경험자 가운데 정부·지자체의 폐업 지원제도를 활용한 비율도 15.6%에 그쳐 제도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인천지역본부는 인천 노란우산 가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천 소상공인 은퇴·폐업 준비현황 및 폐업 애로사항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인천지역 개인사업자 폐업률이 전국 최상위 수준인 점을 고려해 소상공인의 은퇴·폐업 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사업재기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는 '은퇴·폐업 준비현황' 161명, '폐업 애로사항'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전화·이메일 방식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인천 소상공인의 사업운영 현황은 적자 52.2%, 손익분기점 수준 38.5%로 절반 이상이 적자 경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61.0%)과 제조업(59.1%)의 적자 비율이 높았고, 서비스업은 순이익 발생 비율이 20.8%로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적자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79.8%)이 가장 많았으며 금융비용 부담(6.0%)이 뒤를 이었다. 향후 같은 업종의 사업전망에 대해서도 72.0%가 부정적으로 답해 전반적인 경기 비관론이 짙게 나타났다.

은퇴·폐업 계획을 묻는 질문에서는 3년 이내가 32.3%로 조사돼 소상공인 3곳 중 1곳이 단기간 내 사업 종료를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3년 내 은퇴·폐업을 검토 중인 응답자의 64.3%는 아직 폐업 관련 정보를 수집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정보 획득 경로는 유튜브·인터넷(10.7%), 지인·동료(7.1%) 등 비공식 채널이 대부분이었다.

폐업 경험자 대상 조사에서는 정부·지자체 폐업 지원제도 활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15.6%에 그쳤다. 실제 활용한 정책은 폐업비용 지원(79.2%), 폐업절차 컨설팅(20.8%), 직업교육·훈련(12.5%) 등이었다. 폐업 비용 보전과 행정절차 지원 등 단기적 효과가 큰 정책에 집중되는 경향이 확인됐다.

황현배 인천중소기업회장은 “인천 소상공인은 경기침체와 비용상승으로 경영 불안을 겪고 있지만, 은퇴나 폐업 준비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폐업 예방을 위한 경영컨설팅·비용절감·위기관리 지원과 함께 재취업·재창업, 심리·생활안정 등 맞춤형 사후 지원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