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시설 조성계획을 밝혔다. 시설 부지만 평택항 인근 유휴수면 약 727만㎡(220만 평)에 이른다. 유휴 수면은 항만 준설공사로 발생하는 흙을 투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곳이다. 만약 사업이 기시화될 경우 공유수면 및 바다 매립지 활용, 재생에너지 기반 확보라는 세 가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 볼 때도 고용창출, 생산전력의 효울적 이용으로 인한 경제 효과까지 기대된다. 일단 이러한 측면에서 김 지사의 구상은 환영받을 만하다. 발전 용량이 국내 최대 규모인 500㎿를 생산할 수 있어 더 그렇다. 500㎿는 김지사표 RE100 정책으로 성과 1GW(원전 1기)의 절반이다.
게다가 반도체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대체 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이바지할 것으로보인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은 분명히 있다. 인허가권을 갖고 있는 해양수산부와의 긴밀한 협력이다. 김지사도 이런 점을 간파. 21일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논의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갈 길은 멀지만, 마구잡이식 공사나 정경유착 사업자 참여도 미리부터 경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2021년부터 2025년까지 7조6000억원을 투자해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생산 기지, 그린 에너지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구축키로 했다가 무산된 '새만금' 태양광 사업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익성도 철저히 따져야 한다. 국내 태양 전력시장은 나날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 가장 큰 원인은 건설 비용의 증가다. 계통 인프라 확충 등 구조적 개선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극복할 복안 마련도 철저히 해야 한다.
재생에너지 중심으로의 에너지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2030년까지 누적 설치량 80GW, 연간 시장 규모 10조 원 대로 키우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도 그래서 나왔다. 이번 김 지사의 구상이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국내 태양광 생태계 복원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