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환경·안전 친화도시 인천’을 주제로 2026년 주요 업무 보고회를 열고 시민들과 내년도 핵심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시는 21일 서구 검단생활SOC복합청사에서 2026년 환경·안전 분야 주요 업무 보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환경국은 이날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확대하고,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연구·제조가 결합된 첨단 생산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또 승기천·굴포천·장수천·공촌천·나진포천 등 5개 하천을 자연 생태 하천으로 복원하고, 소규모 사업장 대기 개선과 미세먼지 저감 사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시민안전본부는 재난 안전 상황 시스템을 활용한 상시 재난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폭염·폭우·한파·폭설 등 계절별 재난에 대응하는 ‘사계절 맞춤형 안전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도서 지역과 취약계층을 포함한 지역 맞춤형 대응 체계도 구축해 생활 전반 안전망을 촘촘히 한다는 계획이다.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이 신뢰하는 초일류 수돗물’ 구축을 목표로 깨끗한 수돗물 공급, 안정적 급수 체계 구축, 도서 지역 기반 시설 확충, 시민 체감 서비스 강화 등 4대 정책을 추진한다.
유정복 시장은 “환경·안전·물 복지는 시민 삶에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도시 미래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근본적 요소”라며 “인천은 지난 10여년간 환경·안전·물 복지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성과를 만들어왔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 선도 환경·안전도시 인천’은 시민과 함께할 때 비로소 완성되며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 참여와 응원을 바탕으로 인천의 변화를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