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어린이집연합회가 21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인천시 외국인 아동 보육료 형평성 확보 요청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 인천시 어린이집연합회가 21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인천시 외국인 아동 보육료 형평성 확보 요청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시 어린이집연합회가 외국인 원아 지원 정책을 어린이집 보육료와 유치원 교육비 간 차등 없이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인천시에 요구하고 나섰다. 같은 외국인 아동임에도 내년부터 이용 기관에 따라 지원금 격차가 최대 31만원까지 벌어지는 데 따른 것이다.

연합회는 21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외국인 아동 지원은 국적이나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며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 보육료 지원금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와 시교육청이 즉시 정책을 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시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3~5세 외국인 아동에게 매달 20만원의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다.

반면 인천시교육청은 유치원에 다니는 외국인 아동에게 3세 35만원, 4·5세 40만원의 교육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이를 각각 40만원과 51만원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내년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 간 지원금 차이가 최대 31만원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시는 현재 연간 약 24억원을 지원하고 있으나, 교육청과 동일 수준으로 보육료를 인상할 경우 예산은 약 45억원 규모로 늘어나게 된다.

연합회는 “유보통합(유치원·보육서비스 통합) 취지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평등인데, 지원액이 한쪽만 높아지면 현장 반발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국인 아동 비율이 60~70%에 달하는 연수구 함박마을 등은 운영난이 더욱 심각하다”며 “일부 어린이집은 원장이 개인 돈으로 20만원씩 차액을 메우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연합회는 “시와 시교육청은 이러한 외침에 귀 기울여 주고 즉각적 대책을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글·사진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