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운영 지원센터 2곳에 같은 센터장·부센터장…“겸직 허용”

한국어촌어항공단이 인천시가 예산을 투입하는 수산 분야 지원센터 2곳을 위탁 운영하면서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센터장과 부센터장을 한 명만 두고 양 센터를 총괄하게 하는 꼼수를 부린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황당한 일이 가능한 배경에는 시의 '승인'이 자리하고 있다.
18일 인천일보 취재 결과, 인천시 수산과와 시 산하 수산기술지원센터가 각각 운영 중인 '인천어촌특화지원센터'와 '인천귀어귀촌지원센터'는 개별적으로 운영돼야 하는 조직임에도 센터장과 부센터장은 동일 인물이 맡고 있다.
귀어귀촌지원센터는 지난해 쇠퇴하는 어촌 활력 향상을 위해 도시민 유치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문을 열었으나 당시 예산이 충분하지 않았던 탓에 운영비 절감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2018년부터 어촌특화지원센터를 위탁 운영하던 한국어촌어항공단이 센터장과 부센터장을 한 명씩만 배치해 인건비를 줄이는 방안을 제안하면서 두 기관의 위탁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에 두 센터는 센터장과 부센터장이 동시에 두 곳을 겸직하는 기형적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센터장과 부센터장을 제외하면 어촌특화지원센터에는 직원 1명이, 귀어귀촌지원센터에는 3명이 근무 중이다.
올해 위탁 사업비는 각각 2억5000만원과 4억원이다. 이 중 인건비는 사업비의 36~37% 수준이다.
이렇다 보니 두 센터 직원들은 사업 성격이 다른데도 서로의 업무를 떠안으며 인력 공백을 메우고 있는 상황이다.
어촌특화지원센터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지역 특화 상품 개발·홍보 등을 지원하며 어촌 관광 활성화와 소득 증대를 돕고 있다. 귀어귀촌지원센터 업무와 연계성은 있으나 지원 대상자와 내용이 엄격히 구분된다.
상황이 이렇자 김대중 시의회 건설교통위원장은 지난 14일 시 해양항공국을 상대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같은 센터장과 직원이 운영하는 구조가 예산 중복 지원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한정된 예산으로 인건비를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장 겸직을 허용했다”면서도 “예산 중복 지원 등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센터 통합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사진 변성원 기자 bsw906@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