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시는 지난 2020년 양주교육지원센터 개소 이후 줄곧 단독 교육지원청 신설을 추진해왔다. 현재 양주는 동두천과 통합된 형태로 교육행정이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 실정을 반영한 교육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인구 29여만 명, 학생 3만여 명, 학교 60여 곳의 규모를 고려하면 이미 독립 청사 설립이 늦었다는 평가다.
시는 그동안 도교육청과 교육부에 여러 차례 분리 신설을 건의했고, 지난 2023년 12월 8만2000여 명이 참여한 시민 서명운동을 통해 여론을 모았다. 이듬해 10월에는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역시 '양주교육지원청 우선 신설'을 공식 건의했다.
지난달 26일 국회를 통과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교육지원청의 관할구역과 위치를 시·도 조례로 정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교육감이 지역 실정에 맞게 교육지원청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시는 이를 계기로 양주역세권 개발 부지를 신설 후보지로 제안하고, 무상 임대를 통해 신속히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교육행정은 결국 지역 아이들이 어떤 환경에서 성장하느냐의 문제다. 통합 체제에서는 지역별 교육격차 해소와 맞춤형 정책 추진에 한계가 뚜렷하다. 양주교육지원청이 신설되면 교원 지원, 교육복지, 시설 관리 등에서 지역 중심의 행정이 가능해진다.
이는 단순한 행정 분리가 아니라 지역 교육자치를 완성하는 첫걸음이다.
법적 근거와 행정 여건이 모두 갖춰진 지금, 남은 것은 도교육청의 결단뿐이다.
'아이 한 명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환경'을 위해 양주교육지원청 신설이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
/이광덕 경기본사 사회2부 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