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이달 사업 용역…연내 공유
그간 군공항·돌봄·RE100 주제
토론 결과, 매년 정책 제안 성과

▲ 경기도청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 경기도청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정에 참여할 수 있는 최대 공론장인 '도민참여 공론화' 사업이 곧 막을 올린다. 그동안 이 사업은 도민 참여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민선 8기 핵심 정책을 널리 알리는 통로로 활용됐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도민과 함께 다룰 마지막 의제로 무엇이 선정될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이달 중으로 '2025년 경기도 도민참여 공론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사업 운영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도내 각종 사회 문제와 이로 인해 빚어지는 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민 참여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도정 방향성을 제시하고 대안을 도출한다. 단순한 여론조사나 의견 수렴 차원을 넘어 도민이 심층 토론을 거쳐 합의안을 도출하는 구조가 특징이다. 지난 2022년 처음 시작돼 올해 4회째를 맞는다.

앞서 도는 민선 8기 역점 사업을 중심으로 의제를 발굴해왔다. 김동연 지사 재임 첫해인 2022년 '도심 내 군공항 문제 합리적 해결방안 관련'을 시작으로, 2023년 '누구나 돌봄', 2024년 '기후위기시대, 도민이 만드는 우리동네 RE100' 등 주제로 공론화가 이뤄졌다.

매년 토론 결과는 구체적인 정책 제안으로 이어지며 도민 목소리가 도정에 반영되는 성과를 냈다. 이번 공론화 역시 도민의 삶과 직결된 굵직한 의제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도는 내부 검토를 거쳐 의제 후보군을 압축한 상태다. 최종 의제는 조만간 열릴 공론화위원회에서 확정된다. 선정된 의제는 오는 9~10월 도민대표회의에서 본격 논의되며, 이후 10~11월 사전 숙의와 심층 토론 과정을 거친다. 결과는 12월에 도민과 공유될 예정이다.

그동안 도는 각종 사회 갈등 현안에 공론화를 접목하며 도민 참여 기반을 넓혀왔다. 마지막 의제가 어떤 모습으로 도민 앞에 제시될지, 이 같은 시도가 도 정책 지형에 어떤 흔적을 남길지가 주목된다.

도 관계자는 “후보 의제들은 사회적 파급력, 도민 체감도, 숙의 가능성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최종 의제는 공론화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며 “도민들이 심층 토론을 통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도민 의견이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다예 기자 pdyes@incheonilbo.com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