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중앙 중심 한계 개선
新 대응책, 인프라 보충 필요
수도권 1곳 추가 땐 인천 유력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년간 제자리걸음이던 인천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재명 대통령 공약에 포함된 데 이어 질병관리청은 기존 중앙 중심 감염병 대응을 권역별 체계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공공의료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인천시는 감염병 전문병원 국비 확보에 나선다.
9일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감염병 전문병원 중심 의료 대응 체계 구축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질병청은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질병대응센터와 지자체 협의체를 운영하고, 권역별 의료 체계를 수립한다. 질병청은 지난달 말 '신종 감염병 대비 의료 대응 관계기관 협의체'에서도 “중앙 중심 감염병 의료 대응 한계에 따라 권역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효율적 체계를 구축해 미래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감염병 대응 체계 전환이 구체화했지만,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은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1년 발표한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21~2025)'을 통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2곳 등 전국 7개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5개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됐는데, 수도권에선 분당서울대병원이 유일하다. 보건복지부 계획대로라면 수도권·제주권 추가 지정이 필요하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최근 질병청 업무보고에서 “넥스트 팬데믹에 대비해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등 인프라 확보 중요성과 이를 위한 제도적 보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수도권 추가 감염병 전문병원 후보지로는 인천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공항·항만이 위치한 관문 도시인 인천은 메르스·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유입 경로였다. 이 대통령도 지난 대선에서 인천 10대 공약으로 “공공의대 및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검토 등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약속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 음압병상을 갖춘 독립된 감염병동을 구축하는 형태다. 시는 지난 5월 기획재정부가 주관한 '지방재정협의회'에서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을 내년 국비 반영 건의 목록에 올렸다. 시 관계자는 “신종 감염병이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상황”이라며 “감염병 전문병원 완공까지도 상당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부지 확보 등이 완비된 인천이 우선순위”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