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법 공업지역 물량 규제 이유
인천시, 연말에나 2단계 구역 지정
부천 대장지구는 기업 유치 '착착'
이 대통령 “확실하게 지원” 약속
담당자 부재·철도망 갈등에 '발목'

이재명 대통령이 '첨단산업도시'를 약속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앞날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경쟁지인 서울 마곡산단이 연구개발(R&D) 특화 모델로 성공 사례를 쓰는 가운데, 같은 후발 주자로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건 부천 대장산단이 한발 앞서 나가는 형국이다. 철도망 등 인프라에 더해 투자 유치 정책도 후순위로 밀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는 연말 계양테크노밸리 도시첨단산업단지 2단계 구역을 지정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2단계 구역은 75만7457㎡ 면적인 도시첨단산단 가운데 절반이 넘는 41만20㎡가 해당한다. 시는 지난해 12월 계양테크노밸리 34만7437㎡ 면적에 대한 산단 계획만 우선 승인했다. 시 관계자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공업지역 물량 규제를 받기 때문에 단계별로 지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단 지정 절차에 묶여 있는 계양테크노밸리와 마주한 부천 대장지구는 이미 기업 유치 단계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1월 대장 도시첨단산단 계획을 고시한 부천시는 SK그룹과 에너지 연구단지 조성 협약을 맺은 데 이어 올 4월에도 대한항공과 1조2000억원 규모 '도심항공교통(UAM) 및 항공안전 연구개발 단지' 협약을 체결했다.
계양테크노밸리와 인접해 경쟁 상대로 꼽히는 서울 마곡산단은 2009년 첫 삽을 뜬 이후 연구개발 클러스터로 발돋움하고 있다. 서울시 자료를 보면 마곡산단에는 대기업 74개, 중소기업 135개가 입주했다. 입주 기업 매출액은 2023년 기준 25조원에 이른다.
마곡산단이 혁신 거점으로 성장하기까진 입지 여건에 더해 행정적 뒷받침도 한몫했다. 서울시는 2011년 '마곡산업단지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기업 유치를 촉진했다. 부천시도 도시첨단산단 조성을 핵심 사업으로 삼아 기업 유치 업무를 맡는 시장 직속 전략담당관 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반면 인천시에서 투자와 기업 유치 정책을 담당하는 투자유치과장은 수개월째 공석이다.
계양테크노밸리와 부천 대장지구는 2019년 수도권 3기 신도시로 나란히 확정됐다. 계양테크노밸리를 지역구로 국회에 입성했던 이 대통령은 대선을 앞둔 지난달 21일 계양역 유세에서 “첨단산업도시로 확실하게 지원하겠다. 총선 때 약속한 것이라서 꼭 지켜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계양·대장신도시는 2029년 조성 공사가 준공될 예정인데, 광역철도망 측면에서도 계양테크노밸리는 약점을 안고 있다. 대장 첨단산단에선 서울 2호선과 연결되는 '대장홍대선'이 하반기 착공한다. 부천시는 대장홍대선과 광역급행철도(GTX)를 포함한 '4중 역세권'을 앞세워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시는 대장홍대선 연장 노선안을 놓고 줄다리기만 거듭하고 있다. 가칭 '도첨산단역' 연장을 선호하는 시와 인천 1호선 박촌역 연결을 주장하는 계양구가 접점을 찾지 못하는 까닭이다. 시 관계자는 “광역철도망이 기업 유치에 시급한 과제”라며 “산업용지 조성원가 인하 등 유인책도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