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 전기본 내 인천시 요구 배제
政 계획대로 2034년 LNG 전환
시 '2045년 탄소중립' 차질 전망
“기본계획 살펴본 뒤 대안책 마련”

인천시의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 계획'이 끝내 무산됐다.
“2030년에 1·2호기를 폐쇄해 달라”는 시 요구가 국내 발전 설비 계획을 담은 정부 문서에 포함되지 않아서다.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에 방점을 찍은 인천형 탄소중립 정책의 동력이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인천일보 취재 결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이날 전체 회의를 열고 2024~2038년 적용되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보고받았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국가 중장기 전력 수급 안정을 위해 2년 주기로 수립되는 계획으로, 발전 설비 계획을 담고 있다.
이날 국회에서 보고된 11차 기본계획에는 '10차 기본계획에 포함된 노후 석탄발전소의 액화천연가스(LNG) 전환 계획은 유지하되, 2037~2038년 수명이 도래하는 발전소 12기는 양수·수소 전소 발전 등 무탄소 위주로 전환한다'는 문구가 명시돼 있다.
앞서 산자부는 10차 기본계획을 통해 2036년까지 노후 석탄발전소 28기를 폐지한 뒤 LNG 발전소로 바꾸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여기에는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도 포함된다.
2034년은 1·2호기가 준공된 지 30년째 되는 해다. 이에 산자부는 같은 해 1·2호기를 폐쇄한 뒤 LNG 발전소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1·2호기가 2034년까지 운영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시의 1·2호기 조기 폐쇄 계획도 물거품이 돼버렸다.
시는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연료를 석탄에서 LNG 등 친환경 물질로 조기 전환해 수도권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겠다는 공약을 수립했다.
이와 함께 시가 국가 목표보다 5년 앞당긴 '2045년 탄소중립' 선언도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크다.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화력발전소 폐쇄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영흥화력발전소의 연간 탄소 배출량은 3225만t으로 인천지역 전체 배출량의 4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인천시 탄소중립 정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기지 못하면서 관련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시가 온실가스 감축이나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관심을 두고 탄소중립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가 전력수급기본계획 최종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부에 요청했다”면서도 “기본계획 수립이 국가 사무다 보니 조기 폐쇄를 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기본계획을 살펴본 뒤 그에 따른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