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모나코에서 열린 F1 그랑프리 모습. /연합뉴스
▲ 지난해 모나코에서 열린 F1 그랑프리 모습. /연합뉴스

인천시의 F1(포뮬러원) 그랑프리 유치 계획이 인천시의회 도마 위에 올랐다.

주무 부처 업무보고를 받은 상임위원회 의원들은 F1 대회 개최에 막대한 예산이 요구되는 점을 고려해 경제성을 면밀히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조성환(더불어민주당·계양구1) 인천시의원은 14일 열린 시의회 제300회 임시회 문화복지위원회 회의에서 “F1 대회 유치와 관련해 투자 대비 효과를 잘 생각하지 않으면 투자를 많이 했음에도 혈세가 낭비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해당 질의는 2025년도 시 국제협력국 주요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뤄졌다.

조 의원은 “도심 내 서킷(경주용 트랙)이 그레이드 1을 충족하려면 아예 황무지에 도로를 내는 게 수월하다”라며 “기존 도로에 서킷을 설치하면 다시 도로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극히 적어 비용이 계속 늘어날 것이다. 인천시는 이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제자동차경주연맹(FIA)의 국제 자동차 경주장 시설 등급은 그레이드 1부터 6까지로 구분된다.

장성숙(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은 “과거 전남 영암은 F1 지원법을 오래 준비해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었다”며 “인천시는 F1 대회 관련 국비를 지원받겠다고만 할 게 아니라 이를 위한 상세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시는 이달 F1 그랑프리 기본구상 및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고 내달부터 5개월간 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F1그룹 측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F1 대회를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의 지원 대상에 포함시켜 서킷 조성비와 대회 운영비 등에 국비를 지원받겠다는 구상이다.

대회 운영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내외 사례를 철저히 분석하고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장 의원은 “2023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경기 도중 차량이 맨홀 뚜껑에 충돌해 파손되는 사고가 있었다. 이런 사례를 잘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김영신 시 국제협력국장은 “용역 결과가 나오기 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며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 F1이 나와 있지 않지만 대통령령으로 지원하는 사업에 항목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 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F1 개최 반대 인천대책위원회’는 “대회 인프라 구축과 개최료 등에 수천억원이 소요돼 시민 혈세 낭비가 우려된다”며 F1 대회 유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정슬기 기자 zaa@incheonilbo.com

키워드
#인천일보
저작권자 © 인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