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집적지 사업 뒷걸음…중국 자동차 수출 잰걸음
지난해 인천항서 54만대 수출
송도 수출단지 처리량 23만대
스마트 오토밸리 '거북이걸음'
내년 업체들 이전·분산 가능성
中 차량 생산량 3000만대 돌파
522만대 수출…전년 比 57%↑
코스코해운 '전용 프레임' 개발
상하차 시간 획기적 감소 효과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⒁ 수출단지 야적 효율 높여야](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410/1268009_582613_5721.jpg)

▲입증된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국회 산업자원중소기업위원회 허종식(더불어민주당·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이 관세청의 '2023년 인천항 수출신고 중고차 업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인천항을 통해 중고차를 수출한 대수는 54만7745대, 수출액은 약 37억달러(한화 4조8500억원 상당)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송도유원지 중고차 수출단지에 있는 1596개 업체가 23만8467대를 해외로 보냈고, 수출액은 약 17억달러(한화 2조2300억원)로 파악됐다. 인천항에서 해외로 나가는 수출 중고차 중 연수구에서만 43.5%가량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는 셈이다.
인천 사업체 전체 현황을 보면 총 31만5447대가 수출됐고, 수출액은 23억달러(한화 3조170억원)로 집계됐다.
연수구 수출단지 외에 △서구 236개 업체(2만7715대 수출, 1억5000만달러) △남동구 152개 업체(1만4990대 수출, 1억2000만달러) △미추홀구 130개 업체(1만698대 수출, 8000만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용 중고차업체들도 일부 물량을 수출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 현황을 보면 △경기도 1106개 업체(10만7834대, 6억7000만달러) △서울 521개 업체(4만1732대, 3억2000만달러) △충남 77개 업체(1만680대, 1억달러) 순이었다.
항만이 있는 부산에서도 98개 업체가 인천항을 통해 7238대를 수출한 것을 감안하면 인천이 대한민국 중고차 수출의 최적지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인천항 수출신고 중고차 업체 현황을 기준으로 하면 인천지역 중고차 수출업체는 2320개로 전국의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대수는 31만5447대로 57.6%, 수출 액수는 2억3006만달러로 62.0%를 점유하고 있다.
인천지역 업체는 상대적으로 고가 중고차를 절반 이상 수출하고 있으며 규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허종식 의원실은 중고차 수출 활성화는 정비·튜닝·부품공급, 쇼링(shoring), 금융 분야를 비롯해 향후 인증 시스템 구축까지 부가 가치 창출로 이어지는 만큼 야적장 수준에 머물고 있는 연수구 중고차 수출단지를 이전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개발행위허가 제한이 해제되는 내년 상반기 이후에는 업체들이 타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인천 곳곳으로 흩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천남항에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항만공사가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해 업체 현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업체의 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한 각종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수출중고차협회로부터 취합한 연수구 중고차 수출단지의 업체가 760개인 것과 비교해 관세청 수출 현황을 통해 지난해 연수구 소재 업체가 1596개였다는 점을 비춰보면, 협회와 무관한 사업체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허종식 의원은 “정부의 중고차 수출 지원 제도는 수출이행기간을 9개월에서 12개월로 연장해 준 게 유일하다”며 “산업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정부 부처와 협의를 통해 인천의 중고차 수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 및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 역시 중고차 수출단지가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한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⒁ 수출단지 야적 효율 높여야](https://cdn.incheonilbo.com/news/photo/202410/1268009_582614_5850.jpg)
▲'펄프선+전용 프레임' 통해 자동차 수출 극대화 나선 중국
2023년 중국의 자동차 생산은 처음으로 3000만대를 돌파했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 물량은 522만대를 넘어서며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수출 물량은 전년도 대비 57% 증가했고, 수출 액수는 1016억달러로 전년도 보다 69%나 증가했다. 1대당 가격은 1만9500달러에 달해 더 이상 저가 물량공세라는 말이 무색하게 됐다.
지난해 9월 중국 코스코는 자체 개발한 특수 장비를 이용, 친환경 자동차 3000대를 브라질로 수송했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코스코해운은 중국 최대 선사이자 선복량 기준 세계 4위의 글로벌 선사로, 매년 50만TEU 이상의 화물을 부산항에서 처리하고 있다.
코스코는 6만8000t급 시리즈 다목적 펄프선의 첫 번째 선박인 <그린케미>호에 자체 개발한 '접이식 상용차 전용 프레임'을 장착해 선적 효율을 극대화했다. 전기차 화재를 대비해 선내에 적외선 온도 장치와 실시간 감시 시스템을 갖춰 타이창항과 닝보·저우산항에서 2797대의 친환경 자동차를 적재한 뒤 38일간 해상운항해 빅토리아항 TVV터미널에 도착, 하역을 마무리 했다.
코스코는 중국차 수출이 급격히 늘어나는 것을 보고 물동량 증가에 대비해 2022년 8월 '펄프선+전용 프레임'을 이용한 새로운 완성차 수출 해상운송 방식을 개발하고, 지난해 7월 친환경 자동차 수출 전담반을 출범시켰다. 수출 전담반은 중국산 자동차 특히 친환경 자동차의 해상 운송을 돕고 있다.
잠재적 중고차 수출 경쟁국인 중국의 발빠른 변화에 한국의 중고차 수출업계는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KMI 아시아 오션 리포트 2024년 1월호 <중국 자동차 수출과 항만 이용 현황>에 따르면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크게 원양 해운(远洋航运), 중-유럽 화물열차(中欧班列), 도로운송(公路货运)으로 이뤄지며, 이중 원양 해운을 이용한 수출 비중이 가장 높다. 원양 해운 선박은 로로선(滚装船), 컨테이너선, 다목적 펄프 운반선(纸浆船) 등이 있으며, 주요 수출항은 다롄항, 톈진항, 상하이항(남항부두), 광저우항, 우한항, 옌타이항 등이 꼽힌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자동차 수출항은 물론 쑤저우항(타이창항) 등이 자동차 수출 항만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2023년 타이창항 자동차 물동량은 완성차 기준 47만2100대로 전년 대비 31.0% 증가했고 이중 대외 수출 물량은 28만3600대로 87.0% 증가했다. 수출 자동차 중 전기차 등 신에너지 차량은 17만2300대로 168.5% 증가했다.
무엇보다 관심을 모은 것은 코스코가 자체 개발한 접이식 상용차 전용 프레임이다.
접이식 상용차 전용 프레임은 승용차 6대를 한꺼번에 거치한 뒤 그대로 다목적 펄프선에 선적하는 방식이다. 자동차가 실린 프레임을 크레인으로 하역해 자동차 운반차에 싣는 방식으로 해상 운송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상하차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중고차 수출업계는 이 같은 프레임을 자동차 장치장에 도입할 경우 나대지에 자동차를 적치하는 것보다 최소 3~5배의 효율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일보 특별취재팀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이한용 인천항발전협의회 사무국장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⒀ 첩첩산중 스마트 오토밸리 해법은?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⑿ 송도중고차수출단지(2)-합법적 중고차 집적단지 필요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⑾ 송도중고차수출단지(1)-송도유원지의 역사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⑽ 중고차 수출과 인천항-로로선 vs 컨테이너 방식의 차이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⑼ 중동·아프리카:한국 중고차 수출의 새로운 기회(2)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⑻ 중동·아프리카:한국 중고차 수출의 새로운 기회(1)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⑺ 국제 정세가 중고차 수출시장에 미치는 영향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⑸ 중고차 수출 한·중·일 삼국지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⑷ 플랫폼 타고 신뢰회복, 중고차 매매 시스템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⑶ 한국 중고차 수출 시장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⑵ 글로벌 자동차 수출 시장의 변화-한국 자동차 수출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⑴ 프롤로그] 수출단지 이전·법·제도적 기반 절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⑴ 프롤로그] '승승장구' 중고차 수출 '화룡점정' 방안 찾는다
- [중고차 수출 메카 인천, 도전과 기회] ⒂ 수출 주력 산업으로 중고차 수출 육성 〈끝〉

